국제 국제일반

올여름 강타한 기후변화·에너지난…재조명 받는 원자력발전소

뉴스1

입력 2022.09.13 13:08

수정 2022.09.13 13:46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처리수 저장 탱크 전경. 2021.02.13/뉴스1 ⓒ 로이터=뉴스1 ⓒ News1 김민수 기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처리수 저장 탱크 전경. 2021.02.13/뉴스1 ⓒ 로이터=뉴스1 ⓒ News1 김민수 기자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1986년 체르노빌과 2011년 후쿠시마 사고로 안전성에 의심받던 원자력발전소가 재조명받고 있다. 에너지난과 기후 위기라는 악재가 동시에 겹치면서다.

워싱턴포스트(WP)는 "최근 몇 년 동안 기후 위기는 탄소를 발생하지 않는 원전이 '신선한 매력'을 갖게 됐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한 에너지 불안은 원자력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원자력 재투자에 가장 열을 올리고 있는 국가는 영국과 프랑스다. 영국은 지난 2020년 전력의 16%를 원자력으로 생산했는데, 8개의 대형 원자로를 건설해 2050년까지 전력 생산량을 25%까지 늘릴 계획이다.

프랑스 역시 원전 6기를 건설하고, 기존 원자로 수명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
프랑스는 이미 전력의 70%를 원자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한국, 중국 등도 원자력에 투자 혹은 원자력 증설 및 수명 연장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기 폐쇄될 위험이 있는 원전에 4년에 걸쳐 60억 달러(약 8조2980억원)를 투자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주(州)의 경우 2025년 운영을 중단할 예정이었던 마지막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남은 3개의 원전을 중단하는 등 탈원전 정책에 앞장서고 있는 독일도 원전 재가동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7개 원자력 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기로 결정한 독일에서는 이같은 원전 폐쇄 결정이 철회될 수 있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로 치명타를 맞은 나라가 바로 독일이기 때문이다.

지난 6일(현지시간) 로버트 하벡 독일 경제장관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따라 남은 원전 3기 중 2기는 필요시 2023년 4월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후쿠시마 사고로 수십 개의 원자로 가동을 중단한 일본도 내년 여름 이후 원전을 재가동할 예정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달 차세대형 원전 개발·신설과 함께 원전 운전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원전 7기에 대한 재가동도 추진한다.

일본 정부가 방사능 위험을 무릅쓰고 원전 가동을 확대하는 데는 탈탄소 사회로의 이행과 더불어 전력수급 문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탈원전을 추진해온 선진국들과 달리 중국과 인도는 꾸준히 원전을 확대해왔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10개의 원자로가 새로 건설되기 시작했는데, 그중 6개가 중국에 건설될 예정이다. 인도가 2개로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중국은 총 23개의 원자로를 건설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향후 3년 이내에 원전 가동 규모를 30% 이상 확대할 방침이다.

이처럼 원전 확대를 지지하는 이들은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는 드물고 △화석 연료가 탄광 사고 및 오염으로 더 많은 사망의 원인이 되며 △미래의 소형 첨단 원자로는 훨씬 안전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아울러 재생 에너지가 화석 연료를 충분히 빠르게 대체하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원자력은 필수라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WP는 "원자력과 재생 가능 에너지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원자력과 재생 가능 에너지라는 하나의 묶음과 기후 재앙 간의 선택"이라고 전했다.

다만 안전성, 폐기물 처리 등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반박도 만만치 않다.
또한 원자력이 다시 각광받게 된다면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은 오히려 더 지연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