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영어 장벽에 한국은 5위" 中·홍콩서 이탈할 글로벌 기업 다음 후보지는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25 13:02

수정 2022.09.25 13:21

한국무역협회, 글로벌기업 300개사 대상
아시아 거점 이전 후보지 조사
1위는 싱가포르....집중 심화
2위 일본, 3위, 홍콩, 4위 중국
한국은 5위, '영어, 북한, 인건비' 지목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여의도 전경. 서울시 제공.
여의도 전경. 서울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이 살기 괜찮은 것은 알겠는데…, 영어가 통하지 않아서 아시아 거점 본부로서 한국은 2순위나, 3순위 쯤으로 생각한다.'
중국, 홍콩, 일본 등지에 아시아 본부를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본부 이전 새 후보지로서 한국을 바라보는 솔직한 속마음이다. 정치적 변수 등으로 인해 중국, 홍콩에서 이탈하는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한 서울·부산 등 국내 주요 도시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영어 장벽', '인건비 부담', '정치 불안정'을 뛰어넘는 투자 유인책이 제시돼야 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 7월 21일부터 26일까지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해 아시아 지역본부를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아시아 본부 이전 수요 및 희망지역' 등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아시아 거점 새 후보지로서 싱가포르, 일본, 홍콩, 중국에 이어 5위에 그쳤다고 25일 발표했다.


글로벌 기업 아시아본부 이전 후보지
순위 국가명
1위 싱가포르
2위 일본
3위 홍콩
4위 중국
5위 한국
6위 대만
7위 말레이시아
(한국무역협회, 글로벌기업 300개사 대상 여론조사 )

한국의 외국인 투자기업은 전체 기업 중 1%수준이나, 수출액은 18.5%(1003억 달러, 2019년 기준)나 된다. 글로벌 기업 유치는 도시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경제성장의 윤활유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확보라는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국제적 명성을 지닌 도시들이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는 이유다.

흥미로운 점은 이번 조사 대상 300개 글로벌 기업 중 약 절반인 149개사(49.7%)가 아시아 본부 이전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주로 중국, 홍콩 소재 기업들이다. 아시아 거점 지역의 대이전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한 아시아 주요도시들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전 계획이 있다고 밝힌 기업들 가운데 '싱가포르가 1순위 후보지다'라고 답한 곳은 94개사(32.7%, 1위)나 됐다. 싱가포르로 외국기업들의 쏠림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일본은 1순위(32개사)에선 홍콩에 다소 밀리나, 2순위(56개사), 3순위(47개사)까지 합계한 가중평균치로 홍콩에 앞서 전체 2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코로나19 확산기, '쇄국정책'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강력한 입국규제 정책을 실시한 바 있으나, 핀테크 등 금융기업·금융인재 유치에 혈안이다.

싱가포르 일본에 이어 3위와 4위는 홍콩과 중국이 각각 차지했으며 한국은 5위다. 이탈지로 꼽혀온 홍콩, 중국이 새 후보지로서도 한국보다 앞서 있다는 것은 주목할 부분이다.

싱가포르. AFP연합뉴스
싱가포르. AFP연합뉴스
일본 도쿄 상업지역 모습. 로이터 뉴스1
일본 도쿄 상업지역 모습. 로이터 뉴스1
조사에 응한 외국기업들은 한국을 꺼리는 이유로 단연, 영어 소통문제(1위)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북한 등 지정학적 리스크(2위), 높은 인건비(3위), 조세부담(4위). 정치 불안정(5위)을 지목했다. 이런 부정적 요인들로 인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업환경이 잘 부각되지 않고 있다는 게 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더구나 조세 부담은 한국보다 일본이 더 높은 편에 속하며, 싱가포르는 사실상 별다른 투자 유인책을 구사하지 않고 있다. 낮은 국제적 인지도와 영어 장벽 등의 약점을 뛰어넘기 위해선, 조세, 고용여건 개선 등의 당근책 제시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원 측의 분석이다.
아울러, 글로벌 스타트업 유치나 산학연 협력 강화를 통한 산업혁신 환경 조성, 국가차원의 조직적 홍보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