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패션·화장품 등 탈중국 가속화, 中굴기 VS 불확실성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27 09:03

수정 2022.09.27 09:03

- 한국 화장품·갭·자라·H&M 등 글로벌 브랜드 잇따라 중국 철수
- 중국은 자국 기업 경쟁력 향상 VS 서방은 정치 리스크와 불확실성
쇼핑객들이 베이징의 한 쇼핑 단지에서 위치한 나이키 주식회사 매장을 지나쳐 걸어가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1
쇼핑객들이 베이징의 한 쇼핑 단지에서 위치한 나이키 주식회사 매장을 지나쳐 걸어가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1

【베이징=정지우 특파원】한국산 화장품과 미국 '갭(GAP)', 일본 '유니클로', 스페인 '자라(Zara)', 스웨덴 'H&M' 등 글로벌 의류 브랜드들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다만 원인을 놓고는 해석이 갈린다. 중국은 자국 기업의 급성장으로 글로벌 브랜드가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중국정부의 밀어주기 정책과 지나친 민족·애국주의, 코로나19 봉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대만·홍콩·신장위구르자치구 독립 문제 등 불확실성 상승을 원인으로 보는 시각도 상당하다.

27일 경제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2013~2017년 한국산 화장품의 대중 수출증가율은 평균 66%에 달했다.
2014년 중국 1~3선 도시에서 증가율은 46%를 기록했다.

폭넓은 투자와 다양한 연령대 소비자를 공략하는 한국산 화장품은 한류 패션문화와 뗄 수 없는 관계로 인식됐다.

그러나 한국산 화장품의 대중국 평균 증가율은 2018년 20%까지 내려오더니 2019년 14%까지 떨어졌다. 2021에는 3.6%에 그쳤다. 제일재경은 “한국의 인기 메이크업 브랜드들이 오프라인 매장을 잇따라 폐쇄했다"면서 "이러한 추세는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터스본위' '쎈마' '발레노' 등과 같은 중국·홍콩 브랜드를 큰 격차로 눌렀던 글로벌 패션 브랜드 역시 위기에 직면했다.

2018년엔 중국 프랜차이즈와 파트너십 조기 종료를 발표한 영국 브랜드 '톱숍'은 올해 연말까지 중국 내 모든 매장을 폐쇄하고 중국시장에서 철수키로 했다. 미국의 '아메리칸 이글'과 '포에버21'도 잇따라 퇴장했다. 갭의 하위 브랜드 '올드네이비'는 2021년 중국을 떠났다.

자라와 같은 패션그룹인 버쉬카, 풀앤베어, 스트라디바리우스는 지난해 오프라인 매장의 문을 닫았고, 올해 8월에는 온라인 판매도 중단했다. 덴마크의 셀렉티드는 지난해 7월 중국에서 1300여개 오프라인 매장을 폐쇄하고 온라인 판매만 남겼다.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굴지의 스포츠 브랜드도 중국시장이 더 이상 달콤하지 않다. 나이키는 중화권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9% 감소했으며, 아디다스는 35% 줄었다.

중국 내 전문가들은 자국 기업의 굴기를 이들 브랜드들의 쇠퇴 배경으로 지목했다. 중국 인민대학 가오리연구소의 왕펑 부교수는 “2000년대 초반까지 중국 내 경쟁자가 많지 않아 글로벌 브랜드들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나 국내 브랜드가 부상하면서 디자인·마케팅 등에서 격차가 좁혀졌다”고 주장했다.

다른 패션업계 전문가는 매주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자라, H&M 등의 전략을 중국 업체가 빠르게 배웠고 이제는 이를 뛰어넘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서방에선 신장산 면화제품 불매 조치와 이에 반발한 중국 내 민족주의·애국소비, 코로나19 재확산과 제로코로나 봉쇄 조치, 인건비 등 생산원가 상승을 주요한 이유로 꼽고 있다. 중국내 시각과 온도차가 큰 셈이다. 한국산 화장품의 경우 2017년 사드 한반도 배치 후 한류 제한령의 직격탄을 맞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0년 말 설문 조사를 통해 한국기업들이 중국의 정치적 위험과 외국 기업 차별, 미중 무역 갈등, 높은 생산 원가 등을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다 중국정부는 ‘선도적인 브랜드 육성으로 수요, 공급구조 업그레이드 촉진 의견’, ‘중국 브랜드의 날’ 제정 등을 추진하고 자국 브랜드 지원책을 잇따라 내놓으며 국산 소비 열풍을 유도하고 있다.


알리바바그룹 부총재 류박은 “향후 중국의 소비시장을 주도하게 될 90~00세대는 자국 문화와 제품에 대해 더욱 강한 자부심과 관심 높다”면서 “이는 자국산 물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고 풀이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