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정부 공간정보산업 확산 기폭제 역할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0.09 18:31

수정 2022.10.09 18:31

[차관칼럼] 정부 공간정보산업 확산 기폭제 역할
최근 일부 편의점에서 드론 배달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야외 캠핑장과 공원 이용객은 물론 산간지역과 같은 물류 사각지대의 사람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되고 있다. 고차원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드론 배송은 지형과 교통상황의 영향을 받지 않아 훨씬 정확하고 안정적 서비스가 가능하다. 운전 필수품이 된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요즘 식당에 가면 자주 만나는 서빙로봇도 공간정보 활용의 좋은 예다.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손쉽게 디지털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서비스가 하루가 다르게 제공되고 또 개발되고 있다.

과거 경부고속도로 개통,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같은 국토개발 과정에서 측량기술이 필수적인 역할을 했던 것처럼 공간정보는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없어선 안될 분야로 자리매김해왔다. 이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시대로의 전환에 따라 공간정보산업의 패러다임도 큰 변화를 맞이했다.


과거에는 인력이 현장에 나가서 직접 수행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측량이 대세였지만 1995년 수치지형도 도입 이후 위성측위시스템(GNSS), 항공 레이저 측량, 3D 스캐너와 같은 디지털 방식의 원격 공간정보 측량기술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측량 자체가 중심이던 공간정보의 성격도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빅데이터와 같은 IT기술과 결합해 융복합 산업으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모바일 매핑, 드론 측량,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활용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해 공간정보산업은 점차 첨단화되고 있다.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과 같은 모빌리티 혁신도 고정밀 공간정보의 기반 위에서 실현이 가능하다.

정부는 공간정보산업 변화를 제도적으로 수용하고 확산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현실세계를 가상의 공간에 실재와 동일하게 구현하는 '디지털트윈' 사업을 국정과제로 반영해 지상·지하 공간을 모두 망라하는 고정밀, 3차원 전자지도를 전국 단위로 구축하고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지역의 교통·재난·환경과 같은 각종 예상되는 도시 문제들을 진단하고 해결방안도 모색 중이다.

다음으로 3D 공간정보 자동갱신기술,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 기술과 같은 차세대 공간정보기술을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R&D) 사업으로 개발하고 있다. 창의적 아이디어로 무장한 청년인재들이 공간정보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청년 창업기업에 업무공간, IT장비와 함께 창업자금, 경영자금, 컨설팅 지원 등 패키지 지원도 시행하고 있다. 고등학교-전문대학-대학교-대학원으로 연계되는 특성화 교육 지원을 통해 전문인재도 키워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공간정보를 주제로 한 전시와 포럼 등 다양한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달 2일부터 4일까지 경기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스마트국토엑스포'가 열린다. 공간정보산업의 현주소와 가능성을 소개하는 공간정보 분야의 큰 축제로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가치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국토교통부는 디지털로 새롭게 디자인한 대한민국 국토에서 국민이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공간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다.

이원재 국토교통부 제1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