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노동복지

정부, 니트족 구직 프로그램 참여시 최대 300만원 지원

김현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0.26 11:30

수정 2022.10.26 11:30

고용부, 청년고용정책방향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년 간 최대 1200만원으로 확대
정부, 니트족 구직 프로그램 참여시 최대 300만원 지원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취업애로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도전지원사업' 프로그램 참여 수당을 최대 300만원까지 늘린다.

민간기업 주도로 기업탐방, 프로젝트형 일경험, 인턴십 등도 확대해 청년들을 돕는다.

고용노동부는 26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7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청년고용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방향은 취업애로청년부터 재학 청년까지 청년의 다양한 상황에 맞춘 취업서비스를 민관이 협업해 확대 지원하는 것에 방점이 찍혔다. 동시에 채용부터 입직 이후의 임금결정까지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정 채용문화를 확립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우선 정부는 취업애로청년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구직을 단념하거나 취업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는 청년들에 대해 구직의욕을 지원하는 '청년도전지원사업'의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프로그램 참여 수당도 단기프로그램은 50만원, 중·장기프로그램의 경우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

취업 애로청년들을 채용한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도 지원 기간과 규모를 현행 1년 최대 960만원에서 내년부터 2년 간 최대 1200만원으로 확대한다.

재학단계부터 조기 맞춤형 고용서비스도 지원한다. 대학 1~2학년은 '빌드업 프로젝트'를 통해 관심있는 직업에 대해 임금과 일자리 수요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고(AI 기반 잡케어서비스), 나의 직업 포트폴리오을 수립해 관련한 진로탐색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다. 취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3~4학년은 '점프업 프로젝트'에 참여해 개인별 취업활동 계획을 수립 후, 원하는 직업과 관련한 훈련, 일경험, 취업스킬향상 프로그램을 패키지로 지원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민간기업 주도로 기업탐방, 프로젝트형 일경험, 인턴십 등 다양한 방식의 일경험도 확대한다. 기업의 우수한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청년이 다양한 일경험 프로그램 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플랫폼을 구축한다.

능력 중심의 투명한 공정 채용과 직무·성과 중심 보상 및 근로시간 자율 선택이 보장되는 공정한 고용문화도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채용의 전 과정에서 충분하고 정확한 채용정보 제공, 능력중심 채용모델 개발·보급 확대 등을 통해 투명한 공정채용 확산을 추진한다. 아울러 현 채용절차법을 공정채용법으로 전면개정해 부정채용을 엄격히 금지한다.


또한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를 지원하고 워라밸이 가능토록하는 근로시간의 유연화를 통해 청년친화적인 노동시장개혁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