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건·사고

정부, 無주최자 집회 매뉴얼 만든다[이태원 참사]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0.31 15:32

수정 2022.10.31 15:32

31일 오전 서울시청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 참사' 추모를 위한 합동 분향소를 찾은 한 시민이 헌화 후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공동취재) 2022.10.3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사진=뉴스1
31일 오전 서울시청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 참사' 추모를 위한 합동 분향소를 찾은 한 시민이 헌화 후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공동취재) 2022.10.3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경찰이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와 관련 주최자가 명확하지 않아 안전관리에 미흡했다는 비판에 관련 매뉴얼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다중이용시설을 대거 보유하고 있는 유통업계도 안전 매뉴얼을 점검하는 등 수습 보완책 마련에 나섰다
■無주최자 집회 매뉴얼 준비
남구준 국가수사본부장은 31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유명을 달리한 분에 대한 명복을 빌고 가족에게도 깊은 위로와 애도를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찰은 이번 참사가 주최 측이 없어 안전 매뉴얼을 작동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경찰 관계자는 "다중인파 사건을 대응하는 경찰의 매뉴얼은 현재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전 주최측이 있고 축제 등이 있을 땐 사전에 관련 자치단체와 경찰, 소방 의료 등 유관기관들이 사전에 역할을 분담해서 체계적으로 대응해왔다.
이번 사고는 그런 부분에서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관리 주체가 없으나 다중 운집이 예상되는 행사의 경우 공공부문이 어느 정도 개입할 것인지 사회적 합의와 보완대책이 마련돼 이런 비극적 사고가 재발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며 "경찰에서도 관련 매뉴얼 준비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

정부에서도 관련 대책은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31일 세종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주최자가 없는 행사는 거의 유례가 없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한 지침을 갖고 있지 않았다"라며 "이번에 그런 부분이 지적되면서 관리방안과 개선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3월 행정안전부는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에서 지역축제를 준비한 주최 측이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 경찰 소방 등의 검토와 심의를 받도록 했다. 경찰·소방과 협의해 주변에 응급차와 안전관리요원을 배치하는 등 안전관리에도 만전을 기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태원 핼러윈 축제의 경우 이 같은 매뉴얼이 전혀 적용되지 않았다. ‘순간 최대 관람객이 1000명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축제’라는 조건엔 부합했지만, 축제를 주관하는 주최자가 없어 신고 대상이 아니었을 뿐더러 신고할 단체나 사람도 없었던 것이다. 이때문에 관계부처의 선제적 대응이 어려웠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통가, 재난대응 메뉴얼 다시 살펴
시민들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도 기업에서 선제적으로 안전 매뉴얼을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축구장, 야구장, 공연시설 등과 연계된 대규모 매장을 갖춘 유통 기업들이 미연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사태 대비 훈련을 추가 계획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이드라인과 관례상 화재를 중심으로 재난 상황을 가정하고 매뉴얼을 만들고 매년 훈련을 진행해왔다"며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압사 사고 방지를 위해 동선 관리 등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에 자리한 대형 쇼핑몰 관계자도 "매장 오픈 시간대 오픈런 질서를 유지하는 인력을 추가 배치했다"며 "충분한 인력을 배치하고 있지만 예상치 못한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경우를 고려해 동선 분산 등을 고려한 압사 사고 관련 매뉴얼 보완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이정은 윤홍집 박문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