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포커스] 부천시 ‘핀셋안전’ 강화…일상위험 제거

강근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1.08 09:35

수정 2022.11.08 09:35

조용익 부천시장 ‘더 안전한 부천 만들기’ 회의 주재. 사진제공=부천시
조용익 부천시장 ‘더 안전한 부천 만들기’ 회의 주재. 사진제공=부천시

【파이낸셜뉴스 부천=강근주 기자】 부천시가 시민 안심을 제고하고자 ‘더 안전한 부천 만들기’에 돌입했다.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은 물론 관가하기 쉬운 일상 속 작은 위험도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이태원 참사 이후 “민관 모든 행사 안전 매뉴얼 점검하라”고 특별지시를 내렸고, 부천시는 응급처치-사회배려층-보육안전-사회안전망 대책 확대에 골몰하고 첨단기술 활용-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운영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이태원 참사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시민안전 최우선’ 의지를 다시금 다잡고 재천명한 처사로 풀이된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8일 “부천시가 추진 중인 모든 정책적 목표는 결국 시민안전이 뒷받침돼야 이뤄질 수 있다”며 “안전사각지대가 없도록 시민이 일상에서 마주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감지하고 없애는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천시 응급처치교육 참가자 심폐소생술 실습.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 응급처치교육 참가자 심폐소생술 실습.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 안심울타리 서비스- 무단횡단 보행자 알림 서비스.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 안심울타리 서비스- 무단횡단 보행자 알림 서비스. 사진제공=부천시

◇조용익 부천시장 “민관 모든 행사 안전 매뉴얼 점검”

부천시는 1일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응급처치교육을 확대하고, 다양한 형태 사고 발생 가능성을 다각도로 살피기 위해 특별 안전점검 실시를 예고하는 등 시민안전대책 강화에 나섰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시민이 많이 모이는 상황에 대비한 안전 매뉴얼을 점검하는 등 시 차원 책임성 또한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에 펼쳐오던 다양한 영역에서 시민안전 대책도 잘 가꿔나간다는 계획이다.

부천시는 당초 3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던 11월 ‘응급처치교육’을 일반 시민으로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교육은 △응급처치 중요성 등 이론교육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실습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등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황별 응급처치요령 체험으로 구성했다.

교육은 부천대학교 몽당기념관 4층에서 11월 한 달 동안 매주 금요일 오후 4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별도 참가비는 없다. 다만 부천시 공공 서비스 예약관리 시스템(reserv.bucheon.go.kr)을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한다.

부천시는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 안전’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천북부역사거리-역곡북부역사거리 등 차량 흐름이 많아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지역 8곳에 안심울타리 서비스(무단횡단 보행자 알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작년 11월 3곳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으로 시작해 올해 5월 5곳을 추가했다.

안심울타리 서비스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통해 무단횡단 보행자를 분석하고,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의 정보를 제공한다. 무단횡단 보행자 검지 시 보행자 알림 디스플레이에 위험알림 정보를 제공한다. 범죄 취약지역에 CCTV 설치도 확대하고, 보행자가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 좁은 골목길 등에도 CCTV 일체형 보안등과 360도 터치식 비상벨을 확충하고 있다.

부천시 여성안심 귀갓길.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 여성안심 귀갓길. 사진제공=부천시

◇응급처치-사회배려층-보육안전-사회안전망 대책 확대

부천시는 ‘아동안전’에도 정책적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2021년 아동보호팀을 신설하고, 아동학대 전담공무원을 배치했다. 이들은 경찰과 협력해 24시간 상시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학교 장기결석 아동-미검진 영유아와 같은 위기아동 조사를 분기별로 실시하는 등 아동학대 예방 및 조기 발견에 힘쓰고 있다.

순천향대학 부천병원-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등 관내 4개 병원을 아동학대 전담의료기관으로 지정하고, 교육청-아동보호전문기관과 같은 유관기관과 아동학대 대응 정보연계협의체를 갖추는 등 피해아동 보호 및 지원을 위한 협력체계도 구축했다. 아동학대 예방교육 및 민-관-경 합동캠페인 등 아동학대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도 지속 전개하고 있다.

또한 아동학대 근절 대책 하나로 관내 어린이집 211곳을 ‘열린어린이집’으로 선정 관리하고 있다. 열린어린이집은 △개방성 △참여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열린보육체험단 구성-운영 여부 등 서류심사 및 현장점검을 거쳐 선정됐다.

특히 부천시는 전국 최초로 관내 모든 초등학교(64곳) 스쿨존 보호구역에 무인교통단속장비-과속경보시스템 등 교통시설을 설치하고, 그 주변에 아동안전지킴이를 배치하는 등 안전한 통학환경 개선도 꾸준히 진행했다.

부천대학교 국제관 입구에 설치된 부천시 여성안심 무인택배보관함. 사진제공=부천시
부천대학교 국제관 입구에 설치된 부천시 여성안심 무인택배보관함.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 시민참여단 화장실 불법촬영 위험요소 점검.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 시민참여단 화장실 불법촬영 위험요소 점검. 사진제공=부천시

◇첨단기술 활용-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운영

‘여성 및 사회배려층 안전’도 꼼꼼히 챙기고 있다. 여성 및 사회배려층 출퇴근 이동이 많거나 범죄피해 불안감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안심귀갓길을 조성하고 있다. 2019년 5곳을 시작으로 2020년 11곳, 2021년 12곳, 2022년 7곳 등 매년 점진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총 35곳 안심귀갓길을 조성했다.

또한 안심무인택배보관함을 25곳(319개함)에 운영 중이며, 불법촬영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관내 508개 공중화장실을 총 1만3423회에 걸쳐 점검했다.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모니터링 사업 또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긴급보육이 필요할 때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365일 시간제보육을 운영하고, 예비-신생아 부모 교육 및 보육 교직원을 위한 전문상담요원 운용 등 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을 강화해 ‘안전한 보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부천시는 2020년부터 시행한 시민안전보험을 올해도 이어가며, 사회안전망도 더 촘촘하게 갖췄다.
보험기간은 3월1일부터 다음해 2월28일까지로 부천시에 주민등록이 된 시민(등록외국인 포함)이면 누구나 자동으로 가입된다. △자연재난 △폭발-화재-붕괴 △대중교통 이용 중 사고 △스쿨존 내 교통사고 등 보장항목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었을 경우 보험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보험료는 부천시가 전액 부담하며, 최대 1000만원 보험금을 지급한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