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자폐 치료 단서를 찾았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1.16 13:27

수정 2022.11.16 13:27

DGIST 김민식 교수팀, 뇌 신경세포의 특이점 발견
뉴런간 상호작용에 문제… 향후 조기진단기술 계획
뇌 신경세포 뉴런. 게티이미지 제공
뇌 신경세포 뉴런. 게티이미지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식 교수팀이 자폐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찾아냈다고 16일 밝혔다. 자폐 장애는 뇌 전두엽에 있는 신경세포간 연결 문제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김민식 교수는 "이번에 밝혀진 현상을 통해 자폐를 예방할 수 있는 첫 단계인 조기 진단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는 행동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기타 발달 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아직까지 정확한 진단법이 없어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진단이 늦은 시기에 이뤄질 뿐만아니라 적당한 치료 방법조차 없다.

연구진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실험쥐를 관찰하는데 다중오믹스 통합 분석기술을 개발해 사용했다.
이 기술은 인간의 유전체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에 이미 알려졌던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빅데이터와도 비교 분석했다.

그결과, 흥분성 뉴런에서 물질대사와 시냅스 등이 상호 작용하는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자페 증상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김민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다중오믹스 통합 분석 기술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병리적 이해를 한 단계 진보시켰을 뿐만아니라 특정 자폐 유전자의 의해 유도된 분자 수준의 세포 분화와 생체정보 등에 이르는 통합 네트워크 발굴을 가능하게 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를 지난 10월 17일 '분자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에 발표했다.

한편,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신경 발달 장애의 하나로 초기 아동기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관련 행동이 지속적으로 손상돼 행동 패턴, 관심사 및 흥미, 활동 범위가 한정되고 반복적인 행동 특징을 보인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