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금융硏 "미-중 갈라지면 약달러 가능성...대안 결제수단 나올 것"

박소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1.28 19:05

수정 2022.11.28 19:05

금융硏 "미-중 갈라지면 약달러 가능성...대안 결제수단 나올 것"
[파이낸셜뉴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기술 갈등 등 지정학적 위험도 증가로 금융도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 금융연구원으로부터 나왔다. 각국 세력 변화에 따라 통화의 지위도 변한다는 주장이다.

지금은 미국이 '킹달러'를 앞세워 금융을 '무기화'하고 있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다만 이는 세계의 블록화로 이어져 외려 달러의 영향력 자체를 약화하는 요인도 된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28일 금융연구원 이윤석 선임연구위원은 '지정학적 위험의 증대가 금융 부문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패권 경쟁 심화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미국과 러시아 간의 대립격화 등으로 전 세계 '지정학적 위험(geopolitical risk)'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경제의 부상과 코로나19를 계기로 세계 공급망 이슈가 불거지면서 핵심 품목에 대한 자급자족이 중요해졌다고 언급하며 통화의 힘, 금융도 이를 따라간다고 봤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기축통화인 미 달러화 중심의 국제금융 시스템에서 미국이나 유엔이 금융제재를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지정학적 위험의 증대로 인한 '금융의 무기화' 현상의 심화가 '결제 수단의 국지화(payment localization)'를 초래해 오히려 미 달러화의 힘을 약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그는 봤다.

단적인 사례가 러시아의 미 국채 축소다. 러시아의 미 국채 보유 규모는 2018년 1월만 하더라도 1000억달러 이상이었지만 불과 3개월 뒤인 4월에는 487억달러로 급감했다. 현재는 20억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미 달러화 의존도를 줄인 것이다.

또 중국, 러시아, 이란 등 미국의 비동맹국들은 위안화국제결제시스템(CIPS)이나 러시아 금융통신시스템(SPFS) 등 자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도 소개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정학적 위험의 증대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은행의 외화보유액과 연기금들의 해외 투자자산의 통화 구성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달러 중심의 국제금융 시스템 약화로 이어지면서 디지털화폐(CBDC)나 가상자산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이 나올 것"이라며 "미국이 이에 대해 어떤 식으로 대응하고자 하느냐에 따라 향후 금융시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