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백악관, '中시위 미온 대응' 지적에 "평화시위 지지 일관" 반박

연합뉴스

입력 2022.12.01 03:16

수정 2022.12.01 09:48

"다른 나라에도 접근해온 방식…위협 없이 견해 표현할 수 있어야" "타국에 대한 中의 강압적 행동 주목"…"우크라 전쟁 겨울에도 지속"
백악관, '中시위 미온 대응' 지적에 "평화시위 지지 일관" 반박
"다른 나라에도 접근해온 방식…위협 없이 견해 표현할 수 있어야"
"타국에 대한 中의 강압적 행동 주목"…"우크라 전쟁 겨울에도 지속"

중국 베이징에서의 '백지 시위'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베이징에서의 '백지 시위'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은 30일(현지시간)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인한 중국 내 시위 확산에 미 정부 대응이 미온적이라는 지적에 그간 다른 나라와 관련해서도 평화적 시위를 일관되게 지지해왔다고 반박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화상 브리핑에서 중국 상황에 대한 반응이 조심스러운 것 같다는 질문에 "우린 이런 방식으로 평화 시위 권리를 일관되게 지지해왔다"며 "과거 관행과 일치하고 확실히 신중한 접근을 해왔다"고 말했다.

커비 조정관은 "그것이 우리가 전 세계 다른 곳에서의 이러한 종류의 이슈들에 접근해온 방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린 시위대를 대변하진 않겠지만 그들이 사는 국가와 무관하게 평화 시위와 자유 집회 권리와 전 세계 남성과 여성의 능력에 대해 목소리를 계속 내겠다"며 "위협, 두려움, 폭력 없이 평화롭게 견해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항상 평화 시위대 편에 설 것이며, 일관되게 그리 해왔다"고 거듭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정책 장기화로 시위가 확산하고 중국 정부의 폭력 대응 조짐이 보이자 평화 시위 권리를 강조하고 봉쇄 정책이 비현실적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중국 공안에 제압당하는 '제로 코로나' 항의시위 참가자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공안에 제압당하는 '제로 코로나' 항의시위 참가자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어 중국의 전 세계 영향력 확대 시도에 대한 질문에 "우린 다른 나라에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택하라고 요구하지 않았고 그리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중국과의 경쟁을 잘 관리할 수 있다고 본다. 조 바이든 대통령도 미국은 중국과 일종의 전략적 경쟁에서 매우 성공적 위치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누구도 경쟁이 충돌로 발전하길 원치 않고 그럴 이유도 없다"고 했다.

커비 조정관은 "우린 중국이 우리와 마찬가지로 전 세계 국가들과 양자관계를 맺고 있음을 안다"며 중국의 타국과의 관계에 대해 논평하지 않겠다고 언급했다.

다만 그는 "우린 경제적 수단이든 군사·안보적 수단을 통해서건 전 세계에서 영향력과 발판을 확보하려는 중국의 시도를 확실히 염두에 두고 있다"며 "각국은 중국과 어떤 관계를 맺을지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는 전 세계 많은 곳에서 중국이 하는 일이 강압적이고, 순전히 그들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이고, 때로는 그들이 거래하는 국가의 이익에 해를 끼치는 행동을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내달 1일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중국이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커비 조정관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민간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거나 늦추려는 조짐이 없어 겨울에도 군사작전이 지속할 것으로 보면서 날씨 탓에 그 정도는 일부 축소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이 인프라가 파괴된 우크라이나를 위해 겨울에 변압기와 전기 장비, 기술적 지원 등을 제공하기 위해 동맹 및 파트너들과 협력할 것이라면서 "러시아가 공격을 중단할 것으로 보지 않기에 이는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커비 조정관은 제이크 설리번 NSC 안보보좌관이 이날 상원의원들을 만나 380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자금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honeyb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