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충남도, 에너지산업 국산화 기술 확보 ‘박차’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01 08:37

수정 2022.12.01 08:37

‘충남 에너지산업 소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사업’ 1단계 종료…2단계 추진
충남도청사
충남도청사
[파이낸셜뉴스 홍성=김원준 기자] 충남도는 충남 과학기술진흥원을 중심으로 지난 2020년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수행한 ‘충남 에너지산업 소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의 1단계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일 밝혔다.

1단계 사업은 에너지산업 분야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지식재산권 창출을 통한 미래시장 선도 역량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목표로 추진했으며, 태양광·이차전지·수전해 등 총 3개 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했다.

태양광 분야 과제를 수행한 솔라플렉스는 △태양광 각도에 따른 발전 효율 변화 감소 △1.31GW/년에서 1.68GW/년으로 발전량 증가 △설치 방식 단순화, 경량화를 통한 지붕 설치 편의성 향상, 내구성 향상 등의 기술적 성과를 달성했다.

이번 과제로 솔라플렉스는 국내 특허 1건을 출원했으며, 경제적 성과로는 오는 2025년까지 매출 104억 원 규모를 예상하고 있다.

이차전지 분야 과제를 연구한 엔비리서치는 △순도 99.95% 이상의 고순도 리튬금속 정제기술 개발 △폭 100㎜ 이상의 광폭, 두께 50㎛급의 초박판 리튬금속 호일 제조기술 확보 △질화알루미늄(AlN) 및 리튬불화화합물을 이용한 리튬 메탈 안정화 기술 확보 △리튬금속이차전지 제조 및 평가 기술 확보 등의 기술적 성과를 이뤘고 국내 특허 1건을 출원했다.

경제적 성과로는 2025년까지 매출 100억 원 규모를 기대하고 있다.


수전해 분야 과제를 맡은 오버플러스파워는 기술적 성과로 △스택 설계를 위한 스택 사양에 따른 스택 시스템 디자인 △유동 및 구조 해석 기반 핵심 부품 설계 기술 △스택 제작을 위한 서플라이 체인 및 시스템 통합 기술 △스택 성능 평가 장비 및 시스템 통합 방법 확보 △스택 사양에 따른 평가 장비 보조기기(BOP·Balance of Plant), 온도·압력제어 및 계측시스템 설계 기술도 개발했다.

이 과제로 오버플러스파워는 국내 특허 4건을 출원했고 2025년까지 매출 17억 원 규모의 경제적 성과를 전망했다.

현재 1단계 사업에 이어 올해 6월부터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차전지 2개와 에너지 효율 향상 1개 등 총 3개 과제를 2024년 12월까지 연구한다.


충남도 관계자는 “1단계 사업의 성과는 에너지산업 시장을 중장기적으로 선도할 기반이자 매출·수출·고용 창출 등으로 이어져 지역경제를 이끄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며 “2단계 사업 지원으로 에너지 전환, 친환경 제품 관련 소재·부품을 개발해 충남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적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