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 그대로인데 정권 바뀌자 결론 정반대" 文 주장
공무원 형 "월북 몰아갔으면서 말장난" 반박 입장문
"당시 정권이 한 일 검찰·법원 통해 명백히 밝혀져야"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문재인 전 대통령이 '서해 피격 공무원 사건' 당시 안보체계에 문제가 없다는 취지의 입장을 낸 것과 관련, 공무원 유족이 "문재인 정부 청와대와 안보부처들이 국가의 존재를 망각했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문 전 대통령은 1일 입장문을 내고 "서해 사건은 당시 대통령이 국방부, 해경, 국정원 등의 보고를 직접 듣고 그 보고를 최종 승인한 것"이라며 "당시 안보 부처들은 사실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획득 가능한 모든 정보와 정황을 분석해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실을 추정했고, 대통령은 이른바 특수정보까지 직접 살펴본 후 그 판단을 수용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판단 근거가 된 정보와 정황은 달라진 것이 전혀 없는데, (정권이 바뀌자) 결론만 정반대가 됐다"며 "(결론이 바뀌려면) 피해자가 북한해역으로 가게 된 다른 가능성이 설득력 있게 제시돼야 한다. 다른 가능성은 제시하지 못하면서 그저 당시 발표가 조작됐다는 비난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입장문이 공개된 뒤 고(故) 이대준씨의 형 이래진씨는 반박문을 내고 당시 청와대 및 안보 관련 부처의 조치를 비판했다.
이씨는 최근 감사원 감사 결과를 언급하며 "월북으로 몰아가기 위해 한자가 표기된 구명조끼가 있었으며 팔에 붕대를 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은폐했음에도 왜 북한 해역에 유입되었는지를 증명하라는 말장난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했다.
이씨에 따르면 2020년 9월22일 이대준씨가 사망, 시신이 훼손된 뒤 한 시간여가 지난 오후 10시50분 인천해경은 이씨에게 전화로 '이대준씨가 평소 북한을 동경했는지', '월북이 의심되는 행동을 했는지' 등을 물었다고 한다.
이씨는 "(동생이) 북한군에 의해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게 우선 아니냐"며 "하지만 이들은 월북이라는 단어를 이때부터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권이 바뀌어 내용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문재인정권이 당시 무슨 짓을 했는지 검찰과 재판부를 통해 명백히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am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