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신용·체크카드 쓰는 사람 많아지더니..지폐 수명 ‘이만큼’이나 늘었다

임우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07 16:27

수정 2022.12.07 16:27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사진=뉴스1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신용·체크카드 및 온라인 거래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우리나라 지폐의 유통 수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폐의 유통수명이란 신권이 발행된 후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상돼 한국은행에서 폐기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의미한다.

7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2022년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에 따르면 기존 5만원권의 유통수명은 지난해까지 14년 10개월(178개월)이었다.

최근 5만원권의 유통수명은 이보다 3개월이 늘어난 5년 1개월(181개월)로 나타났다.

특히 1만원과 1천원권은 각각 4개월과 9개월씩 늘어난 11년 3개월(135개월), 5년 10개월(70개월)이다. 다만 5천원권은 지난해와 동일한 5년 3개월(63개월)로 확인됐다.


지폐의 수명이 늘어난 배경으로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등 ‘비현금 지급 수단 사용 확대’와 온라인 거래 증가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또 우리나라 지폐의 유통수명은 주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저액권과 중간액권이 길었고, 최고액권은 중간 수준으로 파악됐다.

이중 5만원권은 유럽이나 일본에 비해 유통수명이 길었지만 미국이나 호주 등 달러를 사용하는 나라들보다는 짧은 것으로 관측됐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최저액과 중간액권의 유통수명은 우리나라 은행권의 내구성과 국민의 건전한 화폐 사용 행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은행권 표본의 고유번호(기번호) 정보를 이용해 유통기간을 추산하고 있다.

helpfire@fnnews.com 임우섭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