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웹 사설] 코로나 3년, 마스크는 벗지만 경기 침체 위기는 여전

노주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1.20 14:49

수정 2023.01.20 14:49

코로나 발생 3년을 맞은 30일 정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1단계 조치를 권고로 조정했다.
코로나 발생 3년을 맞은 30일 정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1단계 조치를 권고로 조정했다.


[파이낸셜뉴스] 20일은 24절기 중 가장 춥다는 대한이자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3년째 되는 날이다. 또 설 연휴를 앞두고 있다. 정부는 오는 30일을 기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대부분을 푼다고 이날 발표했다. 대중교통·의료 기관·복지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돼 방역과 일상의 조화를 꾀하게 됐다.
2020년 10월 마스크 착용 의무가 도입된 지 27개월여 만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이 완전히 종식됐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겨울철 재유행이 정점을 찍고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했다. 다행히 올겨울에는 델타·오미크론 같은 새로운 변이 출현에 따른 대규모 코로나 확산이 없었다. 연속 3주 동안 확진자가 감소하며 확산세가 잦아들었고 의료역량과 백신·치료제도 충분해 마스크 의무 해제로 확진자가 다소 늘더라도 대응이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우리는 지난 3년 동안 일찍이 경험 보지 못한 감염병과 앞이 보이지 않는 사투를 벌였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1096일째인 지난 19일 기준으로 총 2992만 7958명의 누적환자를 기록했다. 3만 3104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난해 3월~4월 오미크론 대유행 때 하루 62만 여명의 확진자가 나오기도 했다. 대개 국민 10명 중 7명이 코로나를 앓았다. 우리나라 누적 확진자 규모는 집계가 불분명한 중국 등을 제외하면 미국·인도·프랑스·독일·브라질·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7번째로 많다.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와 실외 마스크 해제에 이어 드디어 실내 마스크 부분해제까지 이뤄지는 올해는 진정한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 이제 남은 코로나19 관련 규제는 실내 마스크 2단계 전면 해제와 확진자 7일 격리 의무 정도이다. 지난 3년 동안 정부는 사적모임 인원 제한과 영업시간 기준 조정 등을 통해 방역의 고삐를 죄어왔다. 2021년 말 단계적 일상회복 체제로의 전환이 시도되면서 방역 완화 움직임에 속도가 붙었다. 그리고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된 지 2년 1개월 만에 사적 모임 인원과 영업시간 제한이 철폐됐다.

세계 각국이 방역 조치를 푼 것도 작용됐다. '모든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명시한 나라는 우리나라와 대만, 이집트 정도뿐이라고 한다. 이웃 일본은 코로나19를 계절성 인플루엔자(독감)처럼 관리하면서 실내 마스크 착용도 원칙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의 영향 아래에 있는 홍콩도 30일부터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격리 명령을 취소키로 했다.

문제는 경기침체다. 코로나가 종료되면 경제위기도 끝날 것으로 여겼지만 팬데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다양한 원인이 중첩돼 '다발성 위기(Polycrisis)'를 초래했다.
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팬데믹 기간 막대한 유동성을 투입한 후폭풍이 인플레이션으로 돌아왔고 최근 유동성 회수의 원인이 됐다. 기대했던 만큼 보복소비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경기는 살아나지 않았고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침체만 남았다.
'포스트 코로나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는 숙제가 우리 앞에 놓여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