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림청,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중지 검토...환경적 우려 반영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1.26 12:41

수정 2023.01.26 12:41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 사용 제한, 전문가 의견 수렴 뒤 다음달 안에 시행여부 최종 결정
소나무류에 직접 주입해 매개충을 구제하는 예방나무주사 모습.
소나무류에 직접 주입해 매개충을 구제하는 예방나무주사 모습.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산림청이 환경적 우려를 반영,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중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항공방제 시행 여부는 약제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을 수렴, 다음달 중 최종 결정한다.

산림청은 지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올해부터 중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한 번 감염되면 100%고사되는 가장 치명적인 산림병해충으로 지난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현재 전국적으로 140개 시군구에서 발생, 확산과 감소가 반복되고 있다. 100여년 전에 피해가 발생한 일본은 사실상 방제를 포기한 상태이며, 유럽에서도 재선충병 피해 확산에 따라 목재생산 감소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자가 이동 능력이 없어,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에 의해 전파되는 병해충으로, 방제 방법도 매개충을 구제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에 주로 활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티아클로프리드 약제는 채소류, 과실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살충제다. 이 약제는 보통독성으로 꿀벌에 대해 안전하며 기피성도 없는 것으로 국내 농약 등록기관인 농촌진흥청에 약성이 등록돼 있다. 다만,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약제에 대한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약제에 대한 위해성 문제가 국회, 언론 등을 통해 제기돼왔다.

산림청은 티아클로프리드 약제와 꿀벌 폐사, 개체 감소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면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보고 사회·환경적 우려를 감안, 항공방제 규모를 꾸준히 줄여 왔다. 소나무재선충병이 급속히 확산된 2014년 이후 연간 2만2000㏊ 규모로 진행하던 항공방제를 지난해에는 20분의1 수준인 1000㏊ 규모로 줄여 제주도와 경남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실행했다.

또한, 국회와 언론 등의 지적에 따라 지난해 9월부터 국내 약제전문가 등으로 '산림병해충 약제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고 약제 위해성 및 재선충병 방제 대체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헬기를 활용하는 항공방제보다는 중요 보전지역과 집단발생지 등을 대상으로 소면적 정밀방제 효과가 높은 드론방제와 지상방제를 활용하는 한편, 소나무류에 직접 주입해 매개충을 구제하는 예방나무주사로 보완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산림청은 항공방제 개선안에 대해 다음달 초 국내 약제전문가를 비롯해 지자체, 임가 등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의 대체약제 발굴, 매개충 구제방안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