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난방 취약현장 민관합동 방문 점검·상담…3월 말까지

뉴스1

입력 2023.02.07 06:02

수정 2023.02.07 06:02

한국에너지공단 직원들이 6일 서울 동작구의 한 아파트에서 노후 보일러 아파트 난방시설 효율개선을 위해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2023.2.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한국에너지공단 직원들이 6일 서울 동작구의 한 아파트에서 노후 보일러 아파트 난방시설 효율개선을 위해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2023.2.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정연주 기자 = 서울시가 에너지분야 공공기관, 관련 협회와 합동으로 난방 취약현장을 점검하고 난방효율 개선을 위한 상담(컨설팅)을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시는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 한국열관리시공협회와 '민관합동 난방효율 개선지원반'을 구성해 이날부터 3월31일까지 중앙난방, 지역난방, 개별난방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등을 대상으로 점검에 나선다.

서울시내 중앙난방 방식을 사용하는 공동주택은 총 118개 단지, 10만6478세대로 전체 공동주택 세대의 약 6.7%를 차지한다. 대부분 구축아파트로 열손실이 높고 세대에서 사용한 만큼 요금을 부과하는 구조가 아니어서 난방비 급등으로 인한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중앙난방방식 공동주택은 준공 후 20년이 지나(준공 30년 이상 55개, 20~30년 49개) 에너지 효율이 낮은 곳이 많다.



이에 이번 점검대상은 2000년 이전 준공 공동주택(98개 단지) 중 한국에너지공단 서울지역본부 점검(23개)단지를 제외한 75개 단지다.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는 노후 보일러 본체·배관, 열교환기, 밸브 등 손실요인을 점검하고,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열 손실을 직접 확인한다. 점검 후 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운전 방법은 개선하고 공기 비율 측정 결과 등을 토대로 가동조건 변경 등을 상담한다.

지역 난방의 경우 서울지역 내 4개 사업자(서울에너지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나래에너지서비스, 대성산업)가 65만 세대(서울시 390만세대 중 17%)에 공급하고 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당초 공동주택 10개단지 66개소를 점검할 예정이었으나, 난방비 급등으로 인한 시민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목동1단지 등 총 30개 단지 151개소로 확대하고, 3월 말까지 주택용(28개단지 56개소), 업무용·공공용 건물(41개소 65개소)에 대해서도 컨설팅을 추진한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2월28일까지 도곡현대빌라트 등 24개단지 35개소에 대한 점검을 진행하고, 12월과 1월 열 사용량이 30% 이상 증가한 8개 단지에 대해서는 집중 상담(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공동주택 난방가구의 53.4%와 단독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별 보일러 난방시설은 한국열관리시공협회와 자치구 진단 컨설턴트, 자치구와 합동으로 자치구별 1개소, 총25개 단지에 대한 방문 점검을 추진한다.

자치구 환경과는 에너지 절감 효과가 좋은 친환경보일러 교체사업을 집중적으로 홍보한다.

단독주택 중 보일러 점검과 에너지 진단을 희망하는 가구는 2월13~24일 자치구 환경과로 접수하면 된다. 현장점검과 상담은 2월27일~3월10일 진행된다. 단, 보일러 고장 등 이상 가동은 기존과 동일하게 보일러 제작사 사후관리(A/S)센터에서 진행한다.

시는 서울시 누리집과 공동주택 관리사무실 등에 난방방식별 난방비 절약방법과 난방비를 줄이는 생활 습관을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갈 예정이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난방비 폭등으로 인한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해 난방방식별 맞춤형 점검 및 효율적인 운영 컨설팅을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도시가스 요금 인상이 예정돼 있어 난방비 절감을 위한 맞춤형 운전·시설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