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9평 원룸에 가스비 20만원" 난방비 2차 폭탄 떨어진다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2.15 05:00

수정 2023.02.15 05:00

대구 달성군에 거주하는 김모씨가 받은 가스요금. 한 달 사이에 근 3배 가량이 올랐다.
대구 달성군에 거주하는 김모씨가 받은 가스요금. 한 달 사이에 근 3배 가량이 올랐다.

[파이낸셜뉴스]"아니 세상에 혼자사는 원룸 난방비가 어떻게 20만원이 넘어요?"
서울 용산구에서 거주하는 김모(30)씨는 최근 지난 1월분 가스요금 고지서를 받고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최근 가스비가 올랐다는 소식에 어느정도 요금 인상을 감수했지만 지난해 12월 대비 30% 이상 껑충 치솟은 요금을 보고 말문이 막혔다.

김씨는 "고작 9평 원룸인데 1월 가스비가 20만원이 넘었다"며 "가스비 인상 뉴스를 접하고 난방을 최대한 줄였는데도 많이 나왔다"고 말했다.

올 1월 사용한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이 매겨진 '폭탄 청구서'를 받아들면서 시민들은 아연실색할 수 밖에 없었다.


지난해 12월에도 폭탄 요금을 받은 데 이어 더 오른 1월분 고지서를 받아든 시민들은 시름이 깊어졌다. 앞으로 공공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고금리 기조에 따라 거의 두배이상 오른 대출 이자에 이어 난방비, 전기요금까지 덩달아 뛰면서 가계 주름살은 더욱 깊어지는 모습이다.

연료 물가 31.7% 껑충 치솟아

14일 서울 성북구 한 대중목욕탕에서 업주가 올해 1월과 지난해 1월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를 보여주고 있다. 업주는 비싸진 가스비에 놀라 작년 1월 고지서를 다시 찾아봤다며 요금이 폭탄 수준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14일 서울 성북구 한 대중목욕탕에서 업주가 올해 1월과 지난해 1월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를 보여주고 있다. 업주는 비싸진 가스비에 놀라 작년 1월 고지서를 다시 찾아봤다며 요금이 폭탄 수준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 지수는 135.7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7%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4월(38.2%) 이후 2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기, 가스 및 기타연료 물가는 소비자물가 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산출된다. 전기, 도시가스, 취사용 액화석유가스(LPG), 등유, 지역난방, 부탄가스 등 주로 가정에서 쓰는 연료들의 물가 동향을 보여준다.

연료 물가를 구체적으로 보면 전기료가 1년 전보다 29.5% 상승했다. 이는 1981년 1월(36.6%) 이후 42년 만의 최고치다. 도시가스는 36.2% 올라 지난해 10∼12월과 상승률이 같았다. 이를 제외하면 1998년 4월(51.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역난방비 상승률은 지난해 10∼12월과 같은 34.0%였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5년 이래 최고치다.

2배 넘게 오른 가스비에 시민들 '경악'

시민들은 대폭 오른 가스요금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 대구 달성군에 거주하는 김모씨(37)는 지난해 12월 가스비로 6만6370원이 나왔다. 그러나 1월 요금은 16만5110원이 나왔다. 김씨는 "딱히 12월 대비 더 쓰거나 덜 쓰지 않은 것으로 기억한다"면서 "말도 안되는 가스비에 과다징수 항의를 했다"고 말했다.

경기 화성시 남양읍에 사는 변모(37)씨 역시 지난해 12월 2만2640원의 가스요금이 나왔지만 지난달 4만7921원으로 2배 가까이 뛰었다. 변씨는 "지난달 한파가 이어져 평소보다 난방을 많이 틀었다"면서도 "원룸에 살고 집에 거의 없는데 이렇게 많이 나올 줄은 몰랐다"고 토로했다.

도시가스 요금과 전기요금은 검침원이 돌아다니며 계량기를 검침하는 날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월15일에 검침했다면 지난해 12월15일부터 1월14일까지 사용량이 한 달 요금으로 계산돼 청구된다.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오롯이 각종 요금 인상으로 이어졌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4·7·10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인상됐다.
도시가스 요금도 지난해 4·5·7·10월에 인상됐다.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민 연료’ 등유는 1년 전보다 37.7% 상승했다.


이현출 건국대 교수는 "취약계층을 포함한 서민층의 경우 전기, 가스료 폭등 여파에 가장 민감할 수 밖에 없다"면서 "폭탄 요금 직격탄을 맞고 있는 서민층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