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전·가스공사, 장기근속·교대근무 원인...'억대 연봉 논란' 해명

이유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2.17 13:44

수정 2023.02.17 14:43

올해 1월 사용한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이 이달 속속 청구되기 시작한 가운데 14일 서울 시내의 한 오피스텔 우편함에 2월 가스비 고지서가 끼워져 있다./뉴스1
올해 1월 사용한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이 이달 속속 청구되기 시작한 가운데 14일 서울 시내의 한 오피스텔 우편함에 2월 가스비 고지서가 끼워져 있다./뉴스1

[파이낸셜뉴스]한 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에너지 요금 인상으로 국민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휩싸인 '억대 연봉' 논란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업무 특성상 장기근속 교대근무자에게 추가 수당을 지급해왔고 앞으로는 연공성 완화를 위해 직무급제를 이용하겠다는 설명이다.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연봉 1억원 이상을 수령한 인원이 각각 3589명, 141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연료비 폭등에 대응해 전기, 가스요금을 올려 경영난에 빠진 한전과 가스공사 돕기에 나섰으나 내부에서는 수천명이 억대 연봉을 수령했다는 비판이다.


반면, 두 회사는 기획재정부 예산운용지침에 따라 지난해 총 인건비 인상률 1.4%를 준수했고 24시간 운영되는 회사 특성상 추가 수당 지급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가스공사는 억대연봉자에는 대해 전국에 설치된 가스배관을 따라서 24시간 가스공급을 위해서 설치된 관리소 운영을 위해 휴일 및 야간수당 지급이 불가피한 장기근속 교대근무자 577명이 포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021년에는 전년도 경영평가 등급이 낮아서 성과급을 지급받지 못해 억대 연봉자가 감소한 것에 비해, 경영평가 등급이 상승해 2022년도 성과급이 지급됨에 따라 억대 연봉자가 증가됐다고 해명했다.

한전 역시 대연봉자 증가는 장기근속 영향이 가장 크고 24시간 전력설비 운영을 위해 휴일 및 야간근무수당 지급이 불가피한 교대근무자 661명이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다만, 한전은 호봉제 중심 보수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전 직원에 대해 직무급제를 도입해 연공성 완화에 나섰다.
가스공사도 올해부터 모든 직원에 대해 직무급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추진하면서 취약계층의 공공요금 부담 완화 지원책을 전개 중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올해 2월에 인력효율화를 위해 조직을 1처 7부로 축소했고 정원도 102명 감축했다"며 "유인으로 관리되는 관리소는 단계적으로 무인화해 인건비를 줄여나갈 예정으로 올해는 18개 관리소를 무인화해 교대근무자를 90명을 축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