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KT 50여개 계열사도 '안갯속'…낙하산 방지, 독립경영 장치 마련해야

김준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3.30 16:58

수정 2023.03.30 17:16

경영공백으로 50여개 계열사도 '스톱'
대표이사 선임·지배구조 개선 더불어
계열사 '독립전문경영' 필요성 목소리
초유의 경영공백 사태로 KT 산하 50여개 계열사들의 경영 환경도 시계제로 상황에 처하면서 계열사별 독립자율경영권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KT 광화문 사옥으로 관계자들이 출입하고 있는 모습.
초유의 경영공백 사태로 KT 산하 50여개 계열사들의 경영 환경도 시계제로 상황에 처하면서 계열사별 독립자율경영권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KT 광화문 사옥으로 관계자들이 출입하고 있는 모습.

[파이낸셜뉴스] 초유의 대표 공백 사태로 KT 산하에 있는 50여개의 계열사들의 경영 프로세스도 사실상 멈췄다. 사장, 임원 인사뿐 아니라 사업방향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선 KT가 하루빨리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외풍을 차단하기 위한 지배구조 개선이 해결책으로 떠오는 가운데 계열사 거버넌스 체질 개선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권 교체기와 함께 대표가 바뀔 때마다 본사만 바라고 있을 수밖에 없는 불안한 계열사 구조를 개선하고, 정권마다 반복되는 '낙하산' 문제를 해결해 계열사별 독립자율경영권으로 각사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분석이다.


■50여개 계열사 경영도 시계제로
30일 업계에 따르면 31일 KT 정기 주주총회와 함께 9개 상장계열사들도 주총을 개최한다. 김철수 대표 임기 만료와 함께 대표이사 선임 건이 없는 KT스카이라이프를 제외하고 나머지 계열사들은 기존 대표이사 재선임안을 추진한다. 나머지 비상장계열사들도 기존 체제 유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이지만, KT의 새 대표가 추대될 때까지 직전 프로세스는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KT 대표가 바뀔 때마다 계열사 사장을 비롯 주요 임원진도 함께 대거 교체돼 왔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계열사의 경영 환경도 시계 제로 상태로, 새 대표이사 선임 때까지 제한적인 경영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 KT 계열사 관계자는 "계열사들은 사장과 임원이 최종 확정돼야 그에 따른 핵심성과지표(KPI)도 결정하고 드라이브를 걸 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런 과정들이 사실상 멈춰있는 상태다"면서 "사업방향을 정하더라도 사장과 임원이 새로 세팅 되면 바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직에 있는 임원들도 함부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KT도 당장 해결해야 할 경영 현안들이 쌓여 있지만 대표 공백으로 불안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구현모 대표가 추진해 온 '디지코'(디지털플랫폼기업·DIGICO) 전략의 지속 여부, 당장 코앞으로 다가온 5G(5세대) 이동통신 중간요금제 출시 등이 대표적이다. KT는 상반기 출시를 예고한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 '믿음', 신규 요금제 등 주요 현안을 대표 직무대행을 맡은 박종욱 경영기획부문장(사장)이 신설한 비상경영위원회 산하 성장지원TF를 중심으로 기존 계획대로 차질없이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2월31일 기준 KT 계열사 현황. 뉴시스
지난해 12월31일 기준 KT 계열사 현황. 뉴시스

■계열사 독립경영체제 정립 필요
이번 KT 경영공백 사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신속한 신규 대표 선임, 이사회 등 지배구조 개선이지만, 계열사 인사 구조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통상 대표 교체와 함께 이뤄지는 '내부 회전문 인사'를 타파하고 계열사 내에서 성장한 전문경영인이 각사를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독립경영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금처럼 KT 대표 공백이 장기화하는 경우를 대비해서라도 더욱이 그렇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KT 내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KT 대표가 바뀌면 주요 임원진도 함께 교체되는데, 이 경우 조직 개편 이후 KT 내 경영진들이 기존 전문 분야와 관련없는 계열사 사장이나 임원으로 내려오는 '낙하산 인사'가 이뤄졌다는 지적이다.
KT 관계자는 "KT그룹의 계열사가 미디어, 금융 등으로 세분화돼 있고, 굵직한 상장사들도 있는 만큼 계열사 내에서 성장한 전문가들에게 자율권을 주고 인사권을 행사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