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차관 칼럼] 지역 중소기업, 경제 활성화 주역

강재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4.16 18:00

수정 2023.04.16 18:00

[차관 칼럼] 지역 중소기업, 경제 활성화 주역
지방의 미래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많다. 지방으로 갈수록 인구감소 문제가 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제력 차이도 심화되고 있다. 일부 지방 도시들은 소멸마저 우려된다.

필자는 지방의 인구소멸을 막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중소기업을 고려하는 성장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비수도권 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며, 종사자의 91%가 중소기업에 종사한다. 숫자로만 보아도 지역 경제의 주인공은 중소기업이다.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가 없는 지역 경제 활성화는 불가능하다. 그간 지역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지역 육성전략이 미흡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지방 중소기업에 위기가 생기면 그때서야 사후약방문 형식의 대응조치가 이루어져 온 점도 있었다.

이런 반성과 고민을 담아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 4월 초 발표했다.

우선 지역 주력산업 분야를 선별하고, 이를 이끌 지역 선도기업을 성장단계별 맞춤지원으로 육성할 것이다. 지역에는 지역을 대표하고 지역이 기대하는 주력업종이 있다. 예를 들면 충북의 첨단반도체, 대전의 의료·바이오헬스, 광주의 모빌리티 의장·전장 부품 등이다. 그리고 주력업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선도하는 기업들이 있어야 한다.

중기부는 비수도권 14개 지자체와 논의해 지역 경제에 기여도가 높은 산업 41개와 미래 먹거리 산업 19개를 선정했다. 오는 2027년까지 이들 주력산업의 성장을 주도하는 대표기업 300개를 민간과 협업해 발굴하고 육성할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협업 프로젝트 방식으로 지역별 특화분야를 중점 지원한다. 전남의 e-모빌리티, 강원의 액화수소, 경남의 안보전략산업 등이 이러한 프로젝트의 사례이다.

둘째로,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를 관리하는 체계를 고도화한다. 지역에서 한두 개 대기업 공장이 갑자기 폐쇄되면 지역 중소기업들이 곤란한 사정에 처하고, 사후약방문 같은 지원시책이 만들어지는 일이 반복되곤 했다. 그러나 통계자료를 활용하면 중소기업들이 미리 사업전환이나 기업구조개선에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경제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위기관리센터도 확충할 것이다.

셋째로, 이를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원팀 지역혁신 협업체제를 구축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민간의 대학, 비영리법인, 금융기관 등은 지역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는 물적·인적·정보적 자원과 지원역량을 갖추고 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끼워야 보배가 되는 것처럼, 중기부는 지자체와 협업해 각종 중소기업 지원역량을 연계하고 조율해 나갈 것이다.

다행인 것은 위기보다는 희망의 요소가 많다는 것이다. 지역 곳곳을 살펴보면 지방에서 창업하고 성장해 해외시장까지 진출하는 혁신 중소기업이 많다.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코로나 진단키트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상용화한 대전의 바이오기업, 나노 융복합 코팅기술을 적용한 기능성 속옷을 개발해 글로벌 쇼핑몰에 입점한 경남의 의류기업 등이 그 예이다.
이들이 지역 경제의 미래를 바꾸어 나갈 희망이다. 이러한 지역 기업들을 민간이 발굴하도록 하고, 이들 기업이 성공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면 지방의 소멸을 막고 지역을 활성화하는 일이 결코 요원한 일만은 아니다.
이 일에 중소벤처기업부가 앞장설 것이다.

조주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