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尹, 한미 경제계 만나 투자동맹으로 확대..첨단기술 동맹까지[尹대통령 방미]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4.26 02:00

수정 2023.04.26 05:55

윤석열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소재 상공회의소에 도착해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소재 상공회의소에 도착해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뉴스1

【워싱턴DC(미국)=김학재 기자】미국 국빈 방문 일정을 소화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방미 이틀만에 44억 달러(한화 약 5조8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해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으로서 한미동맹 범위를 투자동맹까지 확대시켰다는 평가다.

특히 미국의 청정수소, 반도체 등 첨단기업들의 한국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내 한미 양국간 첨단기술 동맹 강화로 한미동맹 결속력을 한층 강화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문화 콘텐츠와 제조업 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든 측면에서 한미 기업들간 협력은 더욱 촘촘히 구축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분위기가 오는 26일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서도 확장억제와 같은 안보 이슈 외 경제 이슈에서 추가 성과를 이끌어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尹, 첨단기술 동맹 강화 집중

미국 국빈 방문 이틀째인 25일(현지시간), 윤 대통령은 알링턴 국립묘지 헌화를 시작으로 일정을 시작했다.

정문 통과 직후 예포 21발 발사로 예우를 받은 윤 대통령은 무명용사탑에서 묵념하면서 한미동맹의 의미를 되새긴 뒤 경제 행보를 이어갔다.

윤 대통령은 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신고식 및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우리 경제사절단과 함께 미국 주요 기업인들과 잇따라 만나면서 청정수소, 반도체, 탄소중립 등 첨단 기술동맹 강화를 위한 경제 행보에 주력했다.

이날 투자신고식에 참석해 총 19억 달러(약 2조5000억원)를 우리나라에 투자하기로 한 미국 첨단기업 6개사에 대해 윤 대통령은 감사인사와 적극적인 의지를 밝혔다. 이들 6개 기업들이 첨단산업 생산시설을 우리나라에 건설하면서, 한미 간 공급망과 첨단기술 협력이 강화되고 에너지·산업구조의 친환경 전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대통령실은 전망했다.

이어진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양국 주요 기업인들과 첨단기술 동맹 강화를 위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눴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지난 1월 다보스 글로벌 CEO(최고경영자) 오찬에서도 윤 대통령과 만났던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와 트럼프 행정부에서 NEC(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의 강력한 옹호자인 게리 콘 IBM 부회장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는 평가다.

아울러 올해 한국 기업으로부터 100억 달러(약 13조원)규모의 부품 구매를 약속한 테슬라의 칸 부디라지 공급망 총괄부사장, 모더나 창업자이자 코로나 당시 우리나라로 백신 지원에 큰 역할을 한 누바르 아페얀 모더나 이사회의장 등도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올해 7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가치동맹"이라며 "군사·안보부터 공급망·첨단 과학기술 분야까지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젠 기업 간 협력으로 상호 간에 큰 시너지 효과가 나오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한미정상회담서도 성과 주목

한미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핵 위협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한 '확장억제 실효성 강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에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워싱턴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확장억제 방안을 담은 별도 문건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보단 진전된 확장억제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두 정상 간 실효적이고 강화된 확장억제 방안이 논의돼 '별도 문건'으로 합의문을 낼 만큼 양국 실무진에서도 공을 들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확장억제와 같은 안보 이슈에만 정상회담이 매몰될 수 있어, 경제 이슈에서 양국 정상간 조율 여부가 주목된다.
당장 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반도체 지원법(CHIPS Act)과 관련한 한국 기업에 우호적인 배려가 얼마나 가시화될지가 관건이란 지적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