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성착취와의 전쟁'..서울시 "피해 가출청소년에 1000만원"

최재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4.26 11:15

수정 2023.04.26 11:15

아동·청소년 성착취 방지·지원 대책 본격 추진
지원센터 운영·경찰과 협력 본격화
가정 복귀 어려운 피해 청소년에 자립정착금 1000만원 지급
/사진=뉴스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성착취 피해를 당했지만 제대로 돌봐줄 가족이 없는 청소년들에게 서울시가 자립정착금 10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내달부터는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을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피해 예방과 회복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아동·청소년 성착취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종합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그간 성매매 피해에 한정해 지원하던 것을 성착취 피해로 지원대상을 확대해 그루밍과 협박, 폭행 등의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해 시는 '서울특별시 아동·청소년 성착취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조례'를 전국 최초로 지정한 바 있다. 국제연합(UN)이 정의하는 '성착취' 개념을 채택, 피해 지원과 사고 예방의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그간 사용돼 온 '성매매'라는 용어는 자발적 거래라는 통념이 내포돼 있는 만큼 '성착취'라는 대안적 개념을 통해 학대 행위라는 입장을 정립했다.

시는 우선 피해 아동·청소년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통합센터를 5월부터 운영한다. 성매매 피해에 한정했던 지원사업을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으로 확대하고 성착취로 유입되기 전 그루밍 단계부터 선제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서울경찰청과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피해 아동·청소년들이 경찰 조사를 받을 때 전문 상담원이 동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내달 시행한다.

가족 기반이 취약해 복귀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은 피해 아동·청소년들이 성매매 환경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자립정착금 1000만원도 6월부터 지급한다. 성매매 피해 청소년 중 75.1%가 가출 경험이 있고, 대부분이 가정폭력과 가족 간 불화로 가출을 선택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이들을 대상으로 시립 늘푸른교육센터를 통해 직업훈련 및 취업연계 등 자립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시는 지적장애 등 성착취에 더욱 취약한 아동·청소년을 적극 발굴하고 맞춤형 교육과 건강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성매매 피해에 국한되어 왔던 지원사업을 성착취로 확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개선책을 마련했다”며 “아동·청소년들이 트라우마 등 성착취 피해로 인한 고통을 치유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 성착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노력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jasonchoi@fnnews.com 최재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