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국내 총 천연가스 수요(기준수요)가 연평균 1.38% 감소해 2036년 3766만톤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도시가스용 수요는 같은 기간 연평균 1.3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는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을 뒷받침하기 위해 가스공사 제5기지(당진)를 건설하는 등 2036년까지 최대 1998만㎘의 저장용량을 확보하고, 신규 수요처 공급 등을 위해 735㎞의 천연가스 주배관을 추가로 건설하는 등 공급설비도 적기에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부터 오는 2036년까지 장기 천연가스 수요전망과 이에 따른 천연가스 도입전략·수급관리 및 인프라 확충 계획을 담은 '15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확정·공고했다고 27일 밝혔다.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은 우리나라 천연가스 수급 안정을 위해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2년 주기로 수립하는 계획이다.
◇국내 총 천연가스 수요 2023년 4509만톤→2036년 3766만톤 감소
수요전망을 보면 국내 총 천연가스 수요(기준수요)는 2023년 4509만톤에서 2036년 3766만톤으로 연평균 1.38% 감소가 예상된다. 다만 도시가스용 수요는 가정·일반용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는 반면, 산업용 수요 증가 영향으로 같은 기간 2220만톤에서 2657만톤으로, 연평균 1.39% 상승할 것으로 점쳐졌다.
발전용 수요는 지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구성 등을 기반으로 할 때 2023년 2289만톤에서 2036년 1109만톤(연평균 5.42% 하락)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수급계획에는 '수급관리수요' 전망치도 포함됐는데, 이에 따른 총 천연가스 수요(수급관리수요)는 2023년 4662만톤에서 2036년 4580만톤으로 연평균 0.14%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급관리수요는 가스 저장시설 등의 천연가스 인프라 확충과 필요 시 장기 천연가스 도입계약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천연가스 안정적 공급과 수급관리…수급 불안 최소화 위해 수입국 다변화 등
정부는 이 같은 천연가스 수요 전망에 따라 공급 안정성과 가격 안정성을 고려해 물량 확보를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특정지역으로부터의 공급 차질 시 천연가스 수급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입국 다변화를 추진하고, 포트폴리오 기업으로부터의 도입을 확대한다. 국내외 공급변동 상황에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장기·단기·중기·현물계약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예정이다.
또 천연가스 도입 가격 안정화릉 위해 가스공사와 민간기업의 협력을 강화, 천연가스 가격지수 중심의 현물계약은 유가연동계약 등으로 가격지수 다양화를 꾀한다.
천연가스 수요관리 강화와 수급위기를 대비한 관리역량 제고도 추진한다.
천연가스 수요관리 강화를 위해 액화석유가스(LPG) 열조설비와 혼입운영을 적극 활용하고, 도시가스 수요절감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국가적 수급위기가 발생할 경우 공공‧민간의 유관기관 간 공동대응을 강화하고, 이상한파 등 예상치 못한 수요 증가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가스공사의 비축 의무량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나간다.
◇국내 안정적 공급인프라 확충…충남 당진에 1998만㎘ 저장기지 건설 등
정부는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을 뒷받침하기 위해 가스공사 제5기지(충남 당진)를 건설하는 등 2036년까지 최대 1998만㎘의 저장용량을 확보한다. 신규 수요처 공급 등을 위한 천연가스 주배관(735㎞)을 추가로 건설하는 등 공급설비도 적기에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저장시설은 2022년 기준 1409㎘에서 2036년에는 1998만㎘로, 주배관은 2022년 기준 5105㎞에서 2036년 5840㎞로 늘어난다.
정부는 차세대 배관검사 로봇과 수소드론을 적극 활용, 스마트관로검사 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배관 및 관로 안전관리의 효율성도 제고할 예정이다.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에는 지역수요·경제성 등을 고려해 농어촌 읍‧면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LPG 배관망 사업을 에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사업 활성화를 위해 선박용 천연가스 사업자용 요금제를 신설하고, LNG 생산기지 외부의 냉열 배관에 대한 설치기준 등도 마련해 냉열산업에 대한 활성화도 꾀한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실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인한 공급리스크로 천연가스의 안정적인 수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이번 천연가스 수급계획부터는 필요 시 수급관리수요를 장기도입계약의 근거로 활용하고, 수급위기가 발생하면 비축의무량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등 수급 안정성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15차 수급계획에 포함된 천연가스의 도입·수급관리·인프라 확충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