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野 신임 원내사령탑 박광온 내년 '총선 승리' 과제

박소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4.28 18:04

수정 2023.04.28 18:04

28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표 선출 의원총회에서 박광온 새 원내대표가 당선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8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표 선출 의원총회에서 박광온 새 원내대표가 당선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새 원내사령탑으로 선출된 박광온 원내대표에게는 내년 총선 승리와 당내 갈등 극복과 통합, 대여 협상력을 선보여야 하는 등의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박 원내대표에게 가장 큰 과제는 내년 총선 승리다. 박 신임 원내대표는 내년 총선에서 윤석열 정부에 맞서 최소한 과반 의석을 유지해야 하는 중책을 맡았다. 이에 박 원내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표 선거 정견 발표에서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이기고 싶다.
이겨야 한다. 함께하면 이길 수 있다"며 '원팀 민주당'을 강조했다. 친이재명계와 비이재명계 간 갈등을 봉합해 통합을 이뤄내는 것이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한 당면 과제라는 의미다. 민주당의 고질적인 계파 갈등으로 당이 사분오열하면 총선 승리는 물 건너갈 수 있기 때문이다.

박 원내대표는 당선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당 상황에서 친명과 비명을 분류하는 것은 유효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당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당은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태로 당 내홍이 수면 위로 재부상하고 있는 양상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돈 봉투 의혹의 책임공방이 계파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박 원내대표는 당 지도부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과 당의 전면적인 쇄신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박 원내대표는 당선되면 이른 시일 내에 '쇄신 의총'을 열어서 쇄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대여'협상력 시험대
민주당이 '5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를 예고한 이른바 '노란봉투법'과 지난 27일 본회의에 직회부된 방송3법(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은 박 원내대표의 대여 협상력을 가늠할 수 있는 첫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170석의 거대 야당으로 여당을 견제하는 동시에 여당의 '방탄 국회' 프레임에 휘말리지 않는 협상력을 보이는 것이 관건이다. 또 내년 총선의 캐스팅보트로 꼽히는 중도층과 청년층을 겨냥해 여당 정책에 반대하는 것만이 아닌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박 원내대표의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박 원내대표는 정부·여당을 향한 투쟁 의지도 드러냈다.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에는 사람이 없다"며 "지금이라도 국정운영의 기조를 사람 중심으로 전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독선과 독단과 독주의 국정운영은 폐기하고 50억 클럽·김건희 특검법을 겸허히 수용하라"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온건하고 합리적 성품으로 알려졌지만 지난해 4월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맡아 이른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강행 처리를 주도할 때는 강골 기질을 보이기도 했다.

사법리스크 '난제'
친이낙연계인 박 원내대표가 이재명 당 대표와 어떻게 궁합을 맞출 지도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해 원내대표 선거에서 친명계 지원사격을 받은 박홍근 전 원내대표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박 원내대표는 정견 발표에서 "이 대표와 좋은 관계를 만들고 그 통합된 힘으로 윤석열 정부와 대차게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당이 계파 갈등으로 인해 분열되는 것인 최악의 상황인 만큼 이 대표와의 관계 회복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도 박 원내대표에게는 난제로 꼽힌다.
'돈 봉투 의혹' 사태로 박 원내대표가 기존처럼 검찰의 야당 탄압 프레임으로 이 대표를 엄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민주당은 지난 2월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쏟아지자 지도부가 표 단속에 실패했다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한동안 후유증을 앓았다.
이에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다시 국회로 넘어올 경우 박 원내대표의 리더십은 최대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