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北 곡물 수입 확대에도 '당·군·보위기관 등 우선 공급'... 쌀·옥수수 가격 오름세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5.04 12:30

수정 2023.05.04 12:31

북한, 지난달 중국에서 쌀 4만6000t 수입
최대 수출품은 ‘가발’...“개혁·개방이 살 길”
곡물 수입 확대에도 쌀·옥수수 가격 오름세
[파이낸셜뉴스]
올해 3월 27일~4월 2일 주간의 한반도 가뭄 지수를 보여주는 미 해양대기청(NOAA)의 위성자료. '심각'을 나타내는 검붉은색 점을 북한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자료=NOAA·VOA
올해 3월 27일~4월 2일 주간의 한반도 가뭄 지수를 보여주는 미 해양대기청(NOAA)의 위성자료. '심각'을 나타내는 검붉은색 점을 북한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자료=NOAA·VOA
전 세계 가뭄상황(Drought Index)를 보여주는 미 해양대기청(NOAA)의 위성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봄 가뭄이 예년보다 심각해 올해 식량 사정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현실화 하고 있다.

NOAA 위성자료에 따르면 가뭄 정도에 따라 ‘중간’과 ‘높음’, ‘심각’ 수준을 각각 노란색과 붉은색, 검붉은색으로 구분하는데, 색깔이 진한 붉은색은 그만큼 가뭄이 심각하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미국의소리(VOA)방송이 NOAA의 가장 최신 자료인 4월 17~23일 한 주간을 살펴본 결과 함경남도와 황해남도 일부를 제외한 전 지역이 검붉은색과 진한 노란색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북한의 가뭄 조짐이 심상치 않다는 건 3월 초부터 관측한 예년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알 수 있으며 △3월 6~12일 주간 북한 중부지대를 중심으로 나타난 진한 노란색과 붉은색은 △3월 13~~19일 주간에는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지만 △3월 20~26일 주간 다시 곳곳에 노란색과 붉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더니 △3월 27일~4월 2일 주간엔 이전보다 더 붉어진 점이 북한 전역으로 확대됐다.


이후 △4월 3~9일 주간과 4월 10~16일엔 상황이 다소 완화됐지만 다시 △17~23일 주간 심각한 상황이 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2021년과 2022년의 4월 둘째 주 북한은 주로 일부 지역에만 노란색으로 표시됐으며, 극심한 가뭄이 찾아왔던 2020년에도 황해도와 평안도만 검붉은색으로 나타날 뿐 그 외 지역의 상황은 나쁘지 않았다는 것이다.

북한 관영매체도 가뭄 피해 대책과 관련한 내용을 보도하는 등 가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노동신문은 4월 29일 “밀, 보리를 비롯한 올곡식 농사를 잘 짓는데서 당면하게 힘을 넣어야 할 사업은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철저히 세우는 것"이라며 관개체계를 완비하고 관수설비를 총동원하는 등의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보다 앞선 4월 4일 북한은 김덕훈 내각총리가 지도하는 내각 전원회의 확대회의를 열고 가뭄 피해 대책 등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4월은 벼 모판을 만들고 옥수수와 감자 등 주요 밭작물을 파종하는 시기로, 이때 가뭄 피해가 더 치명적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해 9월 2일 가을걷이를 앞두고 농작물 비배관리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보도한 사진. 사진=노동신문 캡처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해 9월 2일 가을걷이를 앞두고 농작물 비배관리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보도한 사진. 사진=노동신문 캡처
북한이 지난달 중국에서 전달보다 2배 이상 많은 4만6000t의 쌀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해관총서가 4월 21일 공개한 북중 무역세부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올해 3월에 길이 6mm 미만인 단립종 쌀 약 1천334만달러 규모의 총 2만6215t을 중국으로부터 사들였다. 북한은 842만달러 규모의 장립종 쌀도 2만546t 사들였다. 전체 수입액 기준으론 4번째로 많았다.

하지만 북한의 수입 확대에도 곡물 가격 하락폭이 크지 않고 최근 들어 다시 시장의 곡물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북한 당국이 수입한 곡물을 당이나 군, 보위기관 등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으로 관측된다.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북한 시장 물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평안북도 신의주에서는 쌀 1kg이 5800원에 거래됐으며 지난달 16일 신의주 쌀값이 5420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주 만에 7.01%가 상승한 것이라고 데일리NK가 보도했다.

또 3월 중순 이후 1kg에 5000원 후반대 가격을 보였던 양강도 혜산의 쌀 가격은 지난달 30일 6000원으로 조사돼 지난달 16일보다 5.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0일 신의주와 혜산 시장에서 거래된 옥수수 1kg 가격은 각각 3000원, 3100원으로 직전 조사 당시인 지난달 16일보다 각각 6.8%, 3.4%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이렇듯 북한은 올해 곡물 수입량을 크게 늘렸지만, 올해 1분기 쌀 가격은 코로나 기간인 최근 4년간의 1분기 쌀 가격 중 가장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북한 농업 전문가들은 “지난해 농업 생산량이 예년보다 크게 감소해 시장의 식량 가격을 안정화시킬 만큼 많은 양을 수입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더욱이 수입된 곡물을 국가의 우선순위에 따라 권력 기관에 먼저 공급하는 경우가 많아 수입량 확대가 시장 가격 안정화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북한이 지난달 중국에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가발∙인조 속눈썹 제품으로, 수출액만 796만달러로 집계됐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