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위험할땐 공사 스톱"… 작업중지권 2년간 5만건 발동

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5.14 09:00

수정 2023.05.14 19:19

삼성물산 건설부문 안전문화 정착
작업중지권 하루 평균 70여건씩
작업자 추락 등 안전조치 요구 최다
삼성물산 현장근로자 969명 설문
근로자 절반 이상 "작업중지 경험"
동료에게 권유하겠단 응답은 95%
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삼성물산 건설 현장의 근로자가 QR코드를 통해 작업중지권을 활용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제공
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삼성물산 건설 현장의 근로자가 QR코드를 통해 작업중지권을 활용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제공
"지상 작업 중 인근 크레인이 대형 건축 자재를 들어 올리는 양중 작업이 보여 작업중지권을 행사했더니 즉시 안전한 곳으로 작업 구간이 변경되는 경험을 했다. 현장 작업자들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과 함께 작업중지권은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부터 나를 지킬 수 있는 권리라는 믿음을 갖게 됐다"(경기도 건축 현장의 삼성물산 토목 협력사 직원 서인수씨)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안전경영 강화가 빛을 발하고 있다. 삼성물산이 건설현장 안전을 위해 도입한 작업중지권이 시행 2년만에 5만건을 넘는 등 하루 평균 70여건이 발동돼 근로자 참여 중심의 안전문화가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지난 2021년 3월 근로자의 작업중지권을 전면 보장한 이후 올해 3월까지 2년간 113개 현장에서 총 5만 3000건의 작업중지권이 행사됐다.
작업중지권은 급박한 위험이 있거나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근로자가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는 권리다. 그간 법적보장에도 불구하고 공사 지연과 손실발생 등 불이익을 우려해 중지권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실제 작업중지원을 행사한 경우는 작업자 추락, 자재 낙하, 장비 협착 등을 우려한 안전조치 요구가 전체의 40%로 최다 비중을 차지한다. 대부분 건설현장의 주요 중대재해 사고 유형으로 근로자들의 작업중지권 행사가 안전사고 사전 방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근로자도 90%이상 작업중지권이 현장 안전에 큰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지난달 삼성물산이 작업중지권 관련 현장 근로자 9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작업중지권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52%(500명)로 집계됐다. 작업중지권이 현장 안전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근로자는 90%(871명)에 이른다. 작업중지권 사용을 동료에게 적극 권유하겠다는 응답도 95%(921명)에 달했다.

삼성물산은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전문조직 신설하고 안전강화비 편성,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법이 규정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별도로 현장소장의 판단에 따른 안전강화비를 추가 편성해 최근 2년간 국내현장에서 약 500억원이 집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현장 위험요소를 다각적으로 점검하고 즉시 개선되도록 지원하는 본사 안전상황실에는 249대의 CCTV를 구축해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다. 지난해 설립한 건설안전연구소 산하의 안전 아카데미에서는 삼성물산과 협력사 직원 총 6만3230명이 안전교육을 이수했다.

사고 예방을 위한 기술 투자 확대로 충돌 방지 시스템, 드론 활용 점검 등 스마트 안전기술 22건도 개발해 건설현장에 적용중이다.
협력사 안전을 위한 컨설팅은 총 141개사 대상으로 1400여회를 진행한데 이어 안전 수준이 우수한 협력사에게는 입찰참여 기회를 우선 부여했다. 해당 협력사에겐 안전관리비를 100% 선지급해 공사 초기부터 협력사의 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도 이끌고 있다.


삼성물산 안병철 안전보건실장(CSO, 최고안전보건책임자)은 "근로자와 협력사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역량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이 건설업계 전반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