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구제역에 소·돼지고기 가격 '꿈틀'…아직은 안심하는 정부

김현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5.19 05:00

수정 2023.05.19 05:00

"방역 위한 이동중지에 따른 것"
여름 휴가철 수요, 구제역 확산세 위험요소
충북 청주발 구제역이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1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고기를 고르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충북 청주발 구제역이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1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고기를 고르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4년 만에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소와 돼지고기 가격이 꿈틀거리고 있다. 정부는 방역을 위한 우제류 이동중지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가격 폭등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여름 휴가철 고기류 수요 증가, 구제역 확산세 등 가격을 자극할 수 있는 요인이 산적해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 "고기류 가격 상승, 앞으로 확산 상황이 관건"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0일 충북 청주에서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후 17일까지 총 10개 농장(청주 8곳·증평 2곳)으로 확산했다.
국내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2019년 1월 이후 4년4개월 만이다.

특히 감염 축종이 소에서 염소까지 확대되며 구제역 확산세가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염소농장에서 구제역이 나온 것은 2011년 1월 이후 12년 만이다.

문제는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소고기와 돼지고기 가격이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소 등심은 지난달 100g에 1만436원이었지만 17일 기준 1만916원으로 4.6% 상승했다. 삼겹살은 같은 기간 2257원에서 2624원으로 16% 뛰었다.

이같은 고기류의 가격 상승은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전국에 우제류 이동중지명령이 내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우제류 이동 제한으로 공급이 막히자 일시적으로 가격이 올랐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지면 축산물 가격은 더욱 날뛸 수 밖에 없다.

구제역으로 살처분되는 가축 수가 늘면 공급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2010~2011년에도 구제역으로 인해 전국에서 소·돼지 348만마리를 살처분하자 돼지고기 가격이 40% 이상 폭등했다. 돼지가 포함된 가공품 가격도 10% 넘게 올랐다.

정부는 구제역이 청주와 증평에 한정돼 발생하고 있으며 아직 살처분도 많지 않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 전국에서 사육 중인 소와 돼지가 많아 공급력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10건의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한 소는 1100여마리로, 전체 사육 두수의 0.03% 수준이다.

또 지난 1~4월 도축된 돼지는 632만마리로 전년보다 0.3% 많고, 이달에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152만마리가 도축될 예정이다.

다만 구제역의 추가 발생으로 인해 일부 도매·유통 업체가 '사재기'에 나설 경우 가격이 폭등할 수도 있다.

구제역이 돼지에 감염될 수 있다는 점도 위험 요소다. 돼지는 국내 유통 물량 90% 이상이 국산으로 구제역이 옮겨 붙을 경우 가격 방어에 치명타를 맞을 수 있다.

농식품부는 유통업체들의 재고 방출을 유도해 물가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은 "구제역으로 인한 일시이동중지 명령으로 소와 돼지고기 가격이 일시적으로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전국 농가를 대상으로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고 있기에 추가 발생상황은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어 "2010~2011년 대규모 살처분 후 백신정책으로 선회한 만큼 공급에 영향을 줄 정도로 살처분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구제역 확산 상황이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한우 농가, 구제역으로 수출길 막혀 '울상'

4년 만에 찾아온 구제역으로 한우 농가는 울상을 짓고 있다. 가뜩이나 한우 가격이 하락세인데 수출길마저 틀어 막히면서다.

정부는 2020년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자 지난해 세계동물보건기구에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 회복을 신청한 바 있다. 구제역 청정국으로 인정받으려면 최소 2년간은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이번 발생으로 청정국 지위 획득이 물건너 갔다.

정부는 최근 사육 마릿수 증가로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한우 농가를 위해 수출 확대를 추진해 왔다. 청정국 지위를 획득해 지난해 44t에 그친 한우 수출량을 200t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이번 구제역으로 인해 수출길에 먹구름이 끼었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