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高물가·高금리, 저소득층 직격탄…1분기 적자액 역대 최대

김규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5.25 14:09

수정 2023.05.25 14:13

통계청 1·4분기 가계동향조사
1분기 이자비용 42.8% 급증
고소득층 영향 적어…빈부격차 심화
통계청 '1/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전년동분기대비 4.7% 증가'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이 2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2023.5.25 kjhpress@yna.co.kr (끝)
통계청 '1/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전년동분기대비 4.7% 증가'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이 2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2023.5.25 kjhpress@yna.co.kr (끝)

[파이낸셜뉴스] 저소득층 보다 고소득층의 소득이 더 큰 폭으로 늘었다. 저소득층 적자액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인 2006년 이후 1·4분기 기준으로 가장 컸다. 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 또한 1분위(소득하위 20%)부터 3분위(소득하위 60%) 가구까지는 감소했지만 소득 상위 40% 이상인 4, 5분위는 증가했다. 이에따라 소득 양극화 지표는 악화됐다.


25일 통계청이 내놓은 '2003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는 고물가, 고금리가 가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5만4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7% 늘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근로소득은 임금 인상, 취업자수 증가 등 영향으로 8.6%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되레 6.8% 감소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인건비가 상승하고 이자비용이 급증한 동시에 원자재값 상승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고금리 영향은 비소비지출 동향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올 1·4분기 이자비용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2.8% 늘었다. 증가폭으론 역대최대다. 이자비용은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6%여서 그만큼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줄어들게 된다.

주목되는 부분은 고물가, 고금리가 전 소득계층에 영향을 미쳤지만 특히 저소득층은 직격탄을 맞았다는 게 수치로 확인됐다. 소득 증가율도 고소득 가구보다 낮았다. 격차는 2배 가량으로 3년만에 빈부격차가 더 벌어졌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가계동향조사 결과 1·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6.45배로 1년전 대비 0.25배포인트 올라갔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분배지표다. 실질소득을 가구원수로 나눠 1분위와 5분위를 비교한 것이다. 수치가 올라가면 그만큼 소득격차가 늘어났다는 의미다. 6.45배는 1분위가 100만원일 때 5분위는 645만원을 처분가능한 소득으로 벌었다는 것이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 2002년 1·4분기 6.89배를 보인 후 2021년 1·4분기 6.30배, 2022년 6.20배로 2년 연속 개선됐지만 올 들어 다시 악화된 것이다.

저소득층 적자도 악화됐다. 분위별 흑자액은 1분위는 46만1000원 적자였다. 전년동기 대비 47.2% 감소했다. 2006년 이후 1·4분기 기준 최저치다. 반면 5분위는 흑자액이 374만4000원으로 9.0% 감소에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 역시 저소득층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이 과장은 "올 1·4분기 실질소득 증감률은 1분위가 마이너스(-) 1.5%, 2분위가 -2.3%, 3분위가 -2.1%이지만 4분위와 5분위는 각각 0.5%, 1.2% 늘었다"고 밝혔다.


정원 기획재정부 복지경제과장은 "소득 5분위 배율은 사회 안전망 강화, 물가 안정 등 상방 요인과 경기 둔화 등 하방 요인이 모두 있어 방향을 예단하기 어렵다"면서 "취약계층 고용 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사업을 조기 집행하고 취약계층 복지제도 보장성도 강화하는 등 소득·분배 개선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