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우주산업 탄력… 2030년까지 ‘국산 인공위성’ 130개 띄운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그다음은]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5.29 18:10

수정 2023.05.29 18:10

美 규제에 핵심부품 국산화 필수
정부 기획·민간 개발로 규모 확장
한미 ‘우주동맹’에 규제완화 기대도
500㎏급 중형위성 2025년 발사
6차 발사엔 韓개발 포집위성 실려
우주산업 탄력… 2030년까지 ‘국산 인공위성’ 130개 띄운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그다음은]
누리호 3차 발사에 실려 본궤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에 힘입어 인공위성 개발에 탄력이 붙었다.

우주기술 강국들의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와 미국 국무부의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에서 자유로운 인공위성을 정부가 기획하고 민간기업이 개발해 우주경제의 규모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30년까지 130여기의 공공위성 개발을 통해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간다는 전략이다.

■'ITAR 프리'위성 계속 개발

29일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르면 공공 분야의 예정된 수요를 적기에 사업화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및 위성 개발 수요를 적극 발굴,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2030년까지 예상되는 130여기 공공위성 개발을 적기에 기획해 개발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정지궤도위성이나 달착륙선 같은 규모가 큰 우주물체를 개발할 때는 미국의 ITAR 규제완화를 이끌어내 한미 간 우주개발 협력으로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당장 누리호 4~6차 발사에 실릴 인공위성들은 ITAR 규제에서 자유로운 위성부품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한 인공위성의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차세대 중형위성 3호를 만든다. 또 쎄트렉아이는 초소형위성 2~11호까지 만들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누리호는 MTCR에서 신뢰하지 않는 발사체"라며 "미국이나 유럽 국가의 인공위성 핵심부품을 사용하려면 여러 규제 때문에 누리호로 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누리호에 실어 올리려면 주요 핵심부품들의 국산화가 필수다.

■500㎏급 중형위성 2025년 발사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2025년으로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 때 쏘아 올릴 예정이다. 차세대 중형위성은 500㎏급 저궤도 위성을 우주기업이 주도해 양산형 위성으로 개발한다. 정부가 위성 플랫폼을 개발해 우주기업에 기술이전을 함으로써 민간의 위성개발 능력을 키우는 게 목표다.

이와 함께 누리호 5차와 6차에 이어 실릴 100㎏ 이하의 초소형위성 10기는 쎄트렉아이가 만들고 있다. 이 위성들은 해상도 1m급으로 지상의 1m 크기를 분간할 수 있을 정도이며, 위성 군집시스템이 적용돼 개발하고 있다. 군집위성 방식은 여러 소형 인공위성들이 서로 연결돼 정보를 보내 큰 인공위성 하나보다 날씨와 통신 등의 정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 볼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6차 발사 때 포집위성을 쏘아 올리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집위성은 수명이 다한 위성이나 우주쓰레기를 로봇팔 등으로 잡아 대기권 안으로 밀어내 태우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위성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3월 열린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위성에 접근하거나 결합, 로봇팔 등으로 우주물체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해 2027년까지 우주 실증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위성 국산화 기술경쟁력 향상

차세대 소형위성 2호의 성공은 국산 인공위성과 핵심부품들의 성능이 그만큼 향상됐다는 증거다.

국내 인공위성 제작 기업과 부품 기업들은 헤리티지(경험)를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수출에 있어 기술경쟁력을 얻게 됐다. 그렇다고 당장 민간수출로 이어지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예를 들어 반도체를 제작하는 장비를 국산화했다고 해서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것과 같다.
일정 수율이 나와야 실제 생산공정에 투입되듯이 정지궤도위성 같은 고사양의 인공위성에는 아직 경험의 축적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미국의 부품을 사용할 경우 윤석열 대통령의 한미 순방 결과물인 한미 공동선언의 ITAR 규제 완화가 빛을 발할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지난 한미 공동선언문의 문구를 바탕으로 사안별로 외교적 소통을 통해 해결하려 한다"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