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이재용의 '미래 동행'… 호암상 수상자 만나 직접 격려 ['삼성판 노벨상' 호암상 시상]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6.01 16:00

수정 2023.06.01 21:01

회장 취임 후 첫 시상식 간 이재용
사재 기부 등 호암상 사랑 각별
과학 분야 시상 확대 제안 하기도
국가 기초과학 육성 기여 평가받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앞줄 왼쪽 첫번째)이 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2023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 회장, 예술상 신수정 서울대 명예교수(조성진 피아니스트 대리 수상),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임지순 석학교수 부부,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 사회봉사상 사단법인 글로벌케어 추성이 공동대표, 박용준 회장, 의학상 마샤 헤이기스 교수 부부, 공학상 선양국 석좌교수 부부,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최경신 교수 호암재단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앞줄 왼쪽 첫번째)이 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2023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 회장, 예술상 신수정 서울대 명예교수(조성진 피아니스트 대리 수상),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임지순 석학교수 부부,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 사회봉사상 사단법인 글로벌케어 추성이 공동대표, 박용준 회장, 의학상 마샤 헤이기스 교수 부부, 공학상 선양국 석좌교수 부부,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최경신 교수 호암재단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년 연속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와 그 가족들을 격려했다. 이 회장은 국가 과학기술 역량 육성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며 과학 분야 시상 확대를 직접 제안하는 등 삼성호암상을 각별히 챙겨왔다. 특히 올해는 이 회장 취임 뒤 처음 열린 호암상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33회 이어온 호암상, 170명에게 325억원 수여

호암재단은 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2023년도 제33회 삼성호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는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임지순 포스텍 석학교수(72)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최경신 미국 위스콘신대 교수(54) △공학상 선양국 한양대 석좌교수(62) △의학상 마샤 헤이기스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49) △예술상 조성진 피아니스트(29) △사회봉사상 사단법인 글로벌케어 등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부문별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메달, 상금 3억원씩 총 18억원이 수여됐다.

이날 시상식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삼성 사장단 50여명, 수상자 가족과 지인 및 관계자 등 총 250명이 참석했다. 조성진 피아니스트는 해외 공연 일정으로 스승인 신수정 서울대 명예교수가 대리 수상했다.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학술, 예술, 사회봉사 분야에서 각고의 노력을 다해 인류사회 발전과 고귀한 인간 사랑 실천에 큰 업적을 이룬 훌륭한 분들을 수상자로 모시게 돼 큰 기쁨이자 자랑"이라며 수상자들을 축하했다.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수상자인 최경신 교수는 "아직도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과학자란 직업이 세상에서 가장 멋진 직업이라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삼성호암상은 창업주인 호암 이병철 회장의 인재제일과 사회공익 정신을 기려 학술·예술 및 사회발전과 인류복지 증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사를 현창하기 위해 1990년 고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이 제정했다. 올해 제33회 시상까지 총 170명의 수상자에게 325억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2년 연속 찾은 JY '호암상'에 각별한 애정

이재용 회장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시상식을 찾으며 수상자들을 격려했다. 이 회장은 호암재단에 실명으로 2021년 4억원에 이어 지난해에도 2억원을 기부하며 호암상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10월 회장 취임 뒤 첫 참석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재계 관계자는 "이 회장이 선대의 사업보국 철학을 지속 계승·발전시켜 국가발전에 더욱 기여하고, 삼성의 '뉴 리더'로서 사회와 함께하는 미래동행 의지를 보여줬다"고 해석했다.

실제 삼성은 국가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자는 이재용 회장의 제안에 따라 2021년부터 과학 분야 시상을 확대했다. 공학이나 의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는 기초과학 분야의 지원을 늘려 산업 생태계의 기초를 강화해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자는 취지다.

고 이건희 선대 회장이 호암상을 제정해 국내외 한국계 연구자들을 발굴해 시상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했다면, 이재용 회장은 선대 회장의 뜻을 이어받아 국가 기초과학 육성을 위해 호암상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삼성은 호암상 외에도 미래기술 육성사업과 산학협력을 통해서도 국가 기초과학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미래기술 육성사업을 통해 물리와 수학 등 기초과학 분야를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소재 등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지원해 760개 이상 과제에 연구비 1조원가량을 지원했다.


국내 대학들의 미래기술과 인재양성을 위해서 산학협력에 매년 1000억원 이상 투자하고, 국내 대학들과 계약학과 등을 운영하며 국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장민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