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심정지 후 혼수상태 환자, 정상회복 예측가능"

강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6.05 13:20

수정 2023.06.05 13:20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 환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 환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최근 심폐소생술의 활성화와 심정지 후 신경과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목표체온조절 치료’가 확대되면서 심장 기능이 정지된 환자의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환 교수팀은 심정지 후 혼수상태인 환자가 다시 정상으로 깨어날 수 있을지 예측할 수 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병원 밖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혈청 표지자의 임상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지난 2018년 8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충남대병원 응급실에서 병원 밖 심정지 후 목표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100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됐다. 바이오마커의 예후 예측력을 측정하기 위해, 입원당시,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각각 혈액을 수집했다.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타우(Tau) 단백질, 미세신경섬유경쇄(NFL) 단백질, 신경교섬유질산성 단백질GFAP), UCH-L1 효소를 측정했다.
이후 전통적인 바이오마커인 혈청표지자 NSE, S-100B와 비교했다.

새로운 혈청 바이오마커의 곡선 아래 면적은 심정지 후 72시간에 가장 높았다. 심정지 후 72시간의 NFL은 100% 특이성을 유지하면서 나쁜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는 데 가장 높은 민감도(77.1%)를 가졌다. 즉, 새로운 바이오마커들로 병원 밖 심정지 후 목표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할 수 있었다.
특히 심정지 후 72시간째에 예후 예측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윤준성 교수는 “심정지 후 의식이 없는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임상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다"며 "전통적인 바이오마커는 객관적 측정법이지만 단독으로는 신경학적 예후를 진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바이오마커들이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나쁜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과 좋은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고 증명된 만큼 향후 임상현장에서 적용된다면, 의료진들이 정상 회복될 환자를 빠르게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로 이어져 더 많은 혼수상태의 환자가 의식을 찾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