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GDP 15% 걸머진 건설업 위기 대비책 뭔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6.27 18:14

수정 2023.06.27 18:14

미분양 재무악화 최대 복병
유동성 안정 관리 서둘러야
분양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자 시공사들은 미분양이 우려되는 지방소재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미루고 있다. 사진은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남권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뉴시스
분양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자 시공사들은 미분양이 우려되는 지방소재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미루고 있다. 사진은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남권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뉴시스
부동산 경기 불황으로 건설사들의 부도 위기감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83위인 대우조선해양건설이 회생절차에 들어가는 등 100위권 안팎의 건설사들이 부도를 내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시공능력평가 17위인 태영건설과 25위 한신공영은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경기도는 최근 우림건설 등 도내 21개 건설업체의 등록을 말소했다.


건설업은 국내총생산(GDP)의 15.4%나 차지할 만큼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건설업이 흔들리면 국가경제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올해 1·4분기에만 폐업신고한 건설기업이 900여곳에 이를 정도로 최근 건설업종의 경영난이 심각하다. 특히 종합건설기업 폐업신고는 지난해보다 60% 이상 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지속된 인플레이션과 원자재 쇼크에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휘청거리고 있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중소 건설사가 늘고 있고, 그나마 견뎌오던 중대형 건설사들도 신용등급 줄강등 위기에 빠지고 있는 것이다.

건설사들의 위험징후는 곳곳에서 읽을 수 있다. 핵심은 미분양주택 적체다. 4월 말 기준 미분양은 7만1000여가구다. 최근 소폭 줄어들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은 8716가구로 전월보다 0.8% 늘었다. 민간 아파트 초기 분양률은 2020년 96.6%에서 올해 1·4분기 49.5%로 급락했다. 분양물량 소진율도 2020년 98.2%에서 올해는 4월까지 78.9%로 떨어졌다. 미분양 적체는 신규 주택을 공급할 수 없다는 의미다.

미분양은 건설사의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키고 금융회사의 부동산PF 대출 부실을 부르는 등 금융권 리스크로 번질 수 있다. 중견 건설사들의 도산은 하청기업 줄도산으로 이어진다. 한국은행은 올해 상반기 금융안전보고서에서 미분양이 증가하면 약 3년의 시차를 두고 건설사의 부실 위험이 높아지는 패턴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당장 큰 문제는 없더라도 3년 뒤엔 가시적 리스크로 불거진다는 말이다.

최근 쓰러지는 건설사들이 대부분 지방 건설사여서 가뜩이나 얼어붙은 지역경제가 더 나빠지고 있다.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지방 중소건설사 비중이 2021년 12.3%에서 지난해 16.7%로 늘었다. 부실위험 기업 비중도 같은 기간 11.4%에서 12.8%로 증가했다.

물론 무리한 확장으로 위험에 빠진 부실기업들은 시장원리에 따라 도태되는 게 마땅하다. 건설사 위험징후를 확대해석하는 경향도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급격한 줄도산이 건설산업 생태계를 뒤흔들고, 나아가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옮겨가는 일이 벌어져선 안 된다. 금융당국은 유비무환의 자세로 미분양 해소와 유동성 확보 등 건설업의 리스크를 해소할 대비책을 세워둬야 한다.
부실의 뇌관이 터진 다음에는 이미 늦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