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대학 졸업장 든 '파트타임' 44만6000명...74%는 "이대로 살래요"

이창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03 11:47

수정 2023.07.03 14:03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4명 중 3명은 “계속 이대로 일할 것"
늘어나는 ‘프리터족’

작년 취업자 중 주 36시간 미만 근무 28.6%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지난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의 28.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작년 전체 취업자 2천808만9천명 중 28.6%에 해당하는 802만8천명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로 나타났다. 주 36시간은 일반적으로 단시간 근로자와 전일제 근로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임금·근로조건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불완전 고용이 늘어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작년 취업자 중 주 36시간 미만 근무 28.6%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지난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의 28.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작년 전체 취업자 2천808만9천명 중 28.6%에 해당하는 802만8천명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로 나타났다. 주 36시간은 일반적으로 단시간 근로자와 전일제 근로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임금·근로조건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불완전 고용이 늘어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 2023.1.15 dwise@yna.co.kr (끝)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고용률 호조세에도 15~29세의 청년층 취업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동시에 취업의 질 역시 떨어지고 있다.
'정규직'이 아닌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청년층의 91%는 대학 졸업장이 있고 이후 다른 일자리로 갈아타는 것도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 5월 청년 취업자 400만5000명 중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04만3000명(26.0%)이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7%(48만9000명)은 학업을 마친 후에도 풀타임으로 일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48만9000명 중 '졸업' 44만6000명, '중퇴' 3만8000명, '수료' 5000명이다. 흔히 말하는 '정규직 취업'을 하지 않은 아르바이트생의 91%는 고등교육 이수자라는 의미다.

'졸업' 상태의 아르바이트생의 의향도 취업을 향하고 있지 않다. '졸업' 상태의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 가운데 74.5%(33만3000명)는 설문에서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다만 주 4일 근무 등 단시간 근무를 도입한 기업에 취업했거나 프리랜서인 청년 등도 여기에 포함됐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싶다고 응답한 청년 취업자는 25.5%(11만4000명)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더 많이 일할 수 있는 일로 바꾸고 싶다' 12.4%(5만5000명), '시간을 늘리고 싶다' 9.1%(4만1000명), '현재보다 다른 일도 하고 싶다' 4.0%(1만8000명) 순이었다.

다른 일이나 더 많은 시간을 원하더라도 청년 취업의 길은 계속해서 좁아지고 있다. 추가 취업을 희망한 이들 가운데 실제로 추가 취업이 가능했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9만 6000명에 그쳤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취업자는 9만9000명 줄어들었다.

청년층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17만9000명 줄어든 것은 인구 감소 기저효과가 있다는 게 기획재정부 설명이다.
인구감소분을 감안한 실제 감소 폭은 1만9000명 수준이라는 것이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