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합참 "北 정찰위성 주요부 인양… 군사적 효용성 전혀 없다"

뉴스1

입력 2023.07.05 09:56

수정 2023.07.05 13:34

지난달 16일 오후 경기도 평택 소재 해군 제2함대 사령부에서 5월 말 서해에 떨어진 북한 우주 발사체 일부가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 2023.6.1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지난달 16일 오후 경기도 평택 소재 해군 제2함대 사령부에서 5월 말 서해에 떨어진 북한 우주 발사체 일부가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 2023.6.1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북한이 지난 5월 말 발사에 실패한 정찰위성에 대해 우리 군 당국이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북한 우주발사체 등 잔해물 탐색·인양작전을 종료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은 5월31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우주 발사체 '천리마-1형'을 쏴 올렸으나, 이 발사체는 총 3단의 추진체 가운데 1단 추진체 분리 뒤 2단 추진체 고장으로 전북 군산 어청도로부터 남서쪽으로부터 200여㎞ 해역에 떨어졌다.

군 당국은 북한 발사체 추락 당일부터 이날까지 36일간 해당 해역에서 탐색·인양작전을 벌여 6월5일엔 직경 2~3m 크기의 고리 형태 잔해를, 그리고 같은 달 15일엔 길이 약 12m·직경 2~3m 크기의 2단 추진체 일부 추정 잔해를 각각 인양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 군은 이후 위성체 잔해도 인양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은 "이번 작전을 통해 북한 우주 발사체와 위성체 주요 부분을 인양해 한미 전문가가 면밀히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인양한 북한 위성체 주요 부분의 세부 내역은 따로 공개하지 않았으나 "군사적 효용성이 없다"는 분석 결과를 감안할 때, 정찰용 카메라 등 광학 장비를 확보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합참은 "우리 군은 어려운 작전환경 속에서도 잔해물 다수를 인양함으로써 우수한 작전수행능력을 보여줬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정찰위성 발사 실패 직후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아직 실행에 옮기진 않은 상태다.

군 당국은 북한의 정찰위성 재발사 시도 등 추가 도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