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백령·대청 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

한갑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06 09:19

수정 2023.07.06 09:19

인천시, 환경부에 국내 후보지 신청서 제출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하나인 두무진의 10억 년 전 퇴적층 전경. 인천시 사진 제공.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하나인 두무진의 10억 년 전 퇴적층 전경. 인천시 사진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시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한다.

인천시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첫 관문인 국내 후보지 선정을 위해 환경부에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후보지 신청서에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일반현황과 지질유산 및 지질보존, 지질공원 기반시설, 잠재력, 사업계획 등을 담았다.

시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을 2019년 7월 국가지질공원 인증 이후 약 4년 간 기반 시설 조성 및 확대, 백령도·대청도·소청도의 관광 환경 향상을 위한 지질공원 해설사 양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시는 이번 후보지 신청서에 기존 국가지질공원의 공원 영역과 지질명소를 확대했다. 섬 생활과 밀접한 해양까지 공원 영역으로 포함했다.
지질공원 내 지질명소는 기존 10개소(백령5, 대청4, 소청1)에서 20개소(백령9, 대청6, 소청5)로 확대해 신청했다.

시는 올해 환경부의 서면 및 현장 평가와 지질공원위원회의 심의 결과 후보지로 선정되면 내년에는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후 2025년에 유네스코로부터 서면 및 현장 평가를 받은 후 세계지질공원 이사회의 심의를 통과하면 2026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 받게 된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전 세계 48개국 195개(국내 5개) 세계지질공원이 인증돼 있다.


윤현모 시 해양항공국장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는 것은 해당 지역이 국제적인 지질학적 가치와 함께 생태적, 문화적으로 뛰어나며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