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제2금융

연체액에 허덕이는 캐피탈사...부동산PF 리스크 대응책 분주

김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18 15:07

수정 2023.07.18 18:01

지난 3월 말 기준 연체액 1000억원 초과한 캐피탈사 총 11곳
연체액 증가율도 최소 7%에서 최대 127%
캐피탈사 포트폴리오 중 브릿지론이 차지하는 비중↑...일부 社 모니터링 대상 포함되기도
우려 커지는 가운데 OK캐피탈·신한캐피탈 등 부동산PF리스크 대응책 내놔
사진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올림픽파크포레온)의 모습. 2022.12.26/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사진=뉴스1
사진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올림픽파크포레온)의 모습. 2022.12.26/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올해 1·4분기 말 연체액을 1000억원 이상 넘긴 캐피탈사가 11곳으로 집계되면서 캐피탈사의 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특히 캐피탈사의 자산 중에서는 신용도가 낮은 시행사가 1금융권에서 본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을 받기 전에 제2금융권에서 고금리로 단기 대출을 받는 형태인 브릿지론의 비중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캐피탈사들이 새마을금고 사태가 촉발한 부동산PF 부실 우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우려도 나오는 가운데 각 사는 부동산PF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연체액 1000억원을 넘긴 캐피탈사는 신한캐피탈, JB우리캐피탈, 한국투자캐피탈, BNK캐피탈, 롯데캐피탈, 하나캐피탈, 우리금융캐피탈, OK캐피탈, 메리츠캐피탈, KB캐피탈, 현대캐피탈로 총 11곳이다.

지난해 4·4분기 대비 올해 1·4분기 연체액 증가율을 살펴보면 메리츠캐피탈(127.4%), BNK캐피탈(119.9%), 하나캐피탈(102.7%), OK캐피탈(71.2%), 한국투자캐피탈(54.8%), 신한캐피탈(47.1%), 우리금융캐피탈(40.4%), KB캐피탈(37.8%), JB우리캐피탈(30.7%), 롯데캐피탈(12.9%), 현대캐피탈(6.7%) 순이다.

연체액에 허덕이는 캐피탈사...부동산PF 리스크 대응책 분주

이 가운데 한국신용평가가 집계한 '캐피탈사별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금융자산 부담'에 따르면, 한국투자캐피탈·OK캐피탈·키움캐피탈·메리츠캐피탈·DB캐피탈의 브릿지론 비중은 자기자본의 0.5배를 초과해 브릿지론 익스포져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위험도가 증가한 상황에서 부동산PF 대출 중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브릿지론이 캐피탈사 포트폴리오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연내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또한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자금 이탈 가능성을 고려해 어느 정도 금리인상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데, 이럴 경우 부동산 관련 부실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새마을금고법'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와 달리, 일선 캐피탈사의 경우 범정부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동산PF 리스크 대응은) 기본적으로 각 캐피탈사들의 책임 하에 관리가 되어야 하는 부분"이라며 "대손충당금 적립을 통해 손실을 상쇄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등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각 캐피탈사 또한 부동산PF 부실 우려가 리스크로 번지지 않도록 각종 대응책을 마련하는 모습이다. 우선적으로 리스크가 비교적 낮은 선순위 채권을 취급하는 캐피탈사 또한 리스크 예방 차원에서 대응책을 세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PF사업장 관리를 위한 현장 실사 모니터링, 사후 관리 매뉴얼을 토대로 한 PF위험 대응 가이드라인 운영 또한 리스크 최소화 방안으로 제시됐다.

OK캐피탈 관계자는 "당사는 기준치 이상의 충당금을 적립해 놓은 데다 예스자산대부와의 합병을 통해 선제적으로 자기자본을 확충하고 부채비율을 낮췄다"며 "향후 추가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대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캐피탈사별 부동산PF 리스크 대응방안
OK캐피탈 우리금융캐피탈 KB캐피탈 신한캐피탈
사전 심사 프로세스 운영/현장 실사 모니터링 및 PF위험 대응 가이드라인 운영/기준치 이상의 대손충당금 적립/예스자산대부와 합병 사전 심사/차주 모니터링/시장 모니터링 부동산시장 모니터링 고도화 및 신용감리 강화/CEO주관 부동산시장위기대응 비상대책위원회(Steering Committee) 운영 PF대주단 협의체 참여/대출 시 한도 제한/심사체계 정교화

올해 1·4분기 연체액이 1000억원을 초과한 캐피탈사 중 우리금융캐피탈과 KB캐피탈, 신한캐피탈도 부동산PF 리스크 관련 대응책을 내놨다. 우리금융캐피탈 관계자는 "개별 차주를 모니터링하며 리스크를 관리해나가는 한편, 새마을금고 사태 등 불가피한 상황을 대비해 시장 상황도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우리금융캐피탈의 경우 사전 심사를 거치기 때문에 리스크가 어느 정도 관리되고 있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KB캐피탈 역시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고도화 및 신용감리 강화', 'CEO 주관 부동산시장 위기대응 비상대책위원회 운영' 등을 실시하고 있다. KB캐피탈 관계자는 "지역별·물건별·대출유형별 시황을 반영한 심사정책 추진을 토대로 탄력적인 입구관리를 하고 있다"면서 "PF대출 관련 모니터링 회의를 통한 사전 위기감지, 대응방안 모색 및 향후 PF대출 전략 방향 또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4월 여신금융협회, 금융감독원 등이 모여 출범한 'PF 대주단 협의체' 또한 캐피탈사들의 부동산PF 리스크 관리 방안 중 하나다. 해당 협의체는 분양성을 담보로 하는 PF의 특성을 고려해 각 사업장의 사업 기간이나 건설 기간, 책임 준공기간을 연장해주거나 금융 비용을 낮춰 연체율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신한캐피탈 관계자는 "PF대주단 협의체를 통해 연체율을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현재 신한캐피탈은 내부적으로 각 사업장에 대출을 해줄 시 한도를 제한하고 있으며 심사 체계를 정교화해 유의 사업장을 면밀히 검토하는 중이다. PF 포트폴리오를 적정 한도 내에서 관리하고, 과밀화된 부동산 시장의 경쟁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금감원 또한 PF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여신성 자산 취급 한도를 30% 이내로 설정하고 있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