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시다 총리는 이날 "자국민 및 한국 국민들의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방출은 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또 오염수 해양방출 개시 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검토를 받고, 일본이 시행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높은 투명성을 갖고 신속하게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기준치를 초과하는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즉시 방출중단을 포함해 대응을 취할 것도 다짐했다.
우리는 윤 대통령이 6번째 양자회담 테이블에 올릴 만한 요청을 했다고 본다.
한일 정상은 지난해 두 차례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고, 올 들어 세 차례 양자 '셔틀외교'를 통해 관계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양국은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와 통화스와프 협정을 복원했다. 또 국방장관 회담과 재무장관 회의가 열렸고, 민간에선 한일 재계를 대표하는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게이단렌(일본 경제단체연합회)의 '산업협력포럼'이 개최됐다.
우리측 제안은 1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박진 외교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간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측은 IAEA와의 조율을 통해 후속 이행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조만간 열릴 한일 국장급 회의에서 협의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두 나라의 관계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공동대응에 이어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정상 궤도에 올라선다. 일본 정부는 우리 제안에 화답해 모처럼 맞이한 신뢰 관계를 다지길 기대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