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60세 급여 2배, 정년 폐지" 日노인들 다시 현역으로 [김경민의 도쿄 혼네]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17 14:43

수정 2023.07.17 14:53

시니어 인력 처우, 현역 수준 개선 움직임
스미토모화학·무라타, 정년 65세 임금피크 없애
65~69세 취업률 50%로 계속 높아져
중책 맡는 시니어도 점차 느는 등 노동시장 변화
일본 도쿄에서 택배 배달을 하는 노인. 연합뉴스
일본 도쿄에서 택배 배달을 하는 노인. 연합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 기업들이 심각한 일손 부족을 메우기 위한 방책으로 60대 이상 노년층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기존 시니어 인력의 처우를 2배까지 높여 현역 수준의 임금을 보장하거나 은퇴 시기를 연장 혹은 폐지하는 기업들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100세 시대를 맞아 노동 시장에서 비중이 높아지는 노년층의 일자리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금피크제 안녕, 기존 연봉 100% 준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스미토모화학은 2024년 4월부터 기존 60세 이상 직원의 급여를 지금의 2배 수준까지 올리기로 했다.

이전까지는 60세 이후 희망자에 한해 재고용할 때 기존 급여의 40~50% 수준만 주는 임금피크제를 적용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를 폐지하고 59세와 똑같은 연봉을 주기로 한 것이다.
회사는 이번 개정으로 60세 이후의 급여 수준이 약 2배로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스미토모화학은 기존 60세인 정년을 단계적으로 올려 최종적으로 65세까지 높이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 3%인 60세 이상의 직원 비율은 10년 안에 17%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 회사의 인사 담당은 "시니어 인재의 전력화와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점에서 노사가 합의했다"고 말했다.

세계 1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기업으로 유명한 무라타제작소도 2024년 4월 이후 59세 이전 임금 체계를 유지하면서 정년을 65세로 인상할 계획이다.

무라타제작소의 한 공장 내부 모습
무라타제작소의 한 공장 내부 모습

2명중 1명은 일하는 시대 "노장은 죽지 않는다"

일본 기업이 이처럼 노년층에게 손을 벌리게 된 배경은 노동시장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계에서는 버블 붕괴로 40~50대는 채용 수가 급감했던 반면, 1990년 전후 대규모로 채용했던 버블기 세대인 60세가 곧 정년을 맞는다. 가뜩이나 일손이 부족한 요즘 일본 기업들에겐 이들의 은퇴가 공포로 다가오는 것이다. 실제로 리크루트웍스 연구소에 따르면 2040년 일본에서는 약 1100만명의 인력 부족이 현실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은퇴를 모르고 일하는 노인들은 이미 상당하다. 총무성에 따르면 65~69세의 취업률은 지난해 50.8%로 과거 10년간 약 14%포인트(p) 상승, 2명 중 1명이 일하는 시대다. 취업률은 앞으로도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특히 인력 부족이 심한 음식·숙박업계에선 중책 포지션을 시니어가 맡도록 제도를 바꾸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우동점 '마루가메제면'을 운영하는 토리돌홀딩스는 지난 4월 현장 책임자의 정년을 65세에서 70세로 올렸다. 또한 마루가메제면 등 산하 주요 3사에서는 아르바이트·파트 경험자에 한해 취업 연령 제한을 없앴다.

아예 정년 제도 철폐를 검토하는 기업도 있다. 아식스는 59세가 된 종업원은 그 연도의 1월 이후 관리직으로 쓰지 않는다는 규정이 있었지만 현재는 폐지를 검토 중이다.

닛케이는 "70세까지의 취업 기회 확보가 기업의 노력 의무가 되면서 정년 연장과 재고용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급여 수준이 낮고 직책도 한정돼 시니어가 일할 의욕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노년층의 현장 복귀가 기존 젊은층의 일자리를 위협해 세대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야마다 히사시 호세이대 교수는 "시니어의 활용 촉진은 피할 수 없지만 연공형 인사 제도를 고쳐 중견 젊은층의 일자리를 줄이지 않는 고민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각)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시부야 지구 건널목을 건너고 있다. 뉴시스
지난 13일(현지시각)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시부야 지구 건널목을 건너고 있다. 뉴시스

'일 할 사람이 없다'...임금 인상 각오한 日사장들

일손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 기업 140여곳 중 절반 가량은 임금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일본 주요 기업 144곳의 사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는 답변은 85.6%에 달했다.

이들에게 앞으로 어떤 임금 인상 방안을 쓸 것인지 복수 응답으로 물었더니 '초임 인상'이 53.5%, '기존 직원 급여 인상'이 45.1%였다. 일손이 태부족이라는 정보기술(IT) 등 전문인력을 위한 별도 급여제도 도입은 20.8%였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전년동기대비 3.2% 상승해 21개월 연속 올랐다. 정부와 민간 안팎에서 물가 상승을 임금이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고 경영자들도 이를 점점 인정하는 분위기다.

2024년 봄 임금 개정에 대해 아직 방향을 잡지 못한 '무응답'이 81개사였지만, 나머지 40% 이상인 59개사가 이미 인상의 의향을 굳혔다고 응답했다. 임금 인상은 어차피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보고, 그렇다면 선제적으로 임금을 인상해 인재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패밀리마트 관계자는 "포스트코로나의 2024년도는 실적의 비약과 함께 물가상승, 사회 정세 등 변화에 대응한 임금 개선을 실현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교통 대기업인 JR동일본도 "2023년도의 수준을 염두에 두고 (임금 인상을) 확실히 진행해 나가고 싶다"고 강조했다.

인상 수준은 4%대가 가장 많은 28.6%를 기록했다. 3%대도 23.8%로 역사적인 임금인상이 잇따랐던 2023년 춘계 노사협상에서 평균 임금인상률인 3.66%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생명보험은 "노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노동 시장에서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미쓰비시상사는 "중장기적으로 실효성 있는 저출산 대책이 중요하다"고 구조적인 인구 문제를 꼬집었다.


일본에는 '혼네'(本音)와 '다테마에'(建前) 문화가 있습니다.
혼네는 진짜 속마음이고, 다테마에는 밖으로 보여주는 겉마음입니다. 개인보다는 조직·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일본인들은 좀처럼 혼네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보는 일본은 다테마에의 파편에 불과할지도 모릅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