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집값 반토막 나는데 ‘딱 6개월’...초토화된 서민주거 사다리

이종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21 15:00

수정 2023.07.21 15:00


서울 강서구의 한 빌라 밀집지역. /사진=뉴스1
서울 강서구의 한 빌라 밀집지역.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빌라(다세대·연립) 시장이 고사 직전에 놓이고 있다. 단 6개월 만에 매매 거래량과 거래 총액이 반토막 났다. 인허가 물량도 급감하면서 서민 보금자리가 위태로운 상황에 놓이고 있다.

6개월 만에 반토막...매매거래·거래총액 '뚝뚝'


자료 : 부동산R114
자료 : 부동산R114

21일 파이낸셜뉴스가 부동산R114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서울 빌라 매매거래 건수는 지난해 상반기 1만9572건에서 같은해 하반기 1만487건으로 절반 가량인 46% 감소했다. 올 상반기에는 더 줄어 9820건을 기록했다. 단 6개월 만에 매매 거래량이 절반으로 줄어들더니 회복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1년 기준으로 했을 때 매매거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강서구다. 이 기간 동안 2478건에서 904건으로 63.5% 감소했다. 화곡동 K 중개업소 관계자는 “집이 안 팔려 사면초가에 빠진 집주인이 상당수”라며 “아파트는 신고가를 기록하는 데 빌라는 전혀 다른 세상이다”고 말했다.

매매거래 총액도 6개월 만에 반토막 났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서울 빌라 매매거래 총액이 6조352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하반기에 3조5277억원으로 절반 가량 줄더니 올 상반기에도 3조5000억원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월별로 보면 빌라 매매거래 총액은 2022년 3월~6월만 해도 1조원을 넘었으나 올해 들어서는 월 평균 거래총액이 6000억원대에 불과하다. 거래 총액 감소는 서울 25개구 전 지역에서 나타났다. 강서구, 도봉구, 송파구 등의 경우 1년 간 거래총액 감소폭이 60%를 넘었다.

비 아파트 인허가·착공도 '뚝뚝'...아파트만 짓는다

주택 유형별 인허가 실적 자료: 국토부
주택 유형별 인허가 실적 자료: 국토부

이런 가운데 빌라 인허가 감소폭도 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5월 전국 아파트 인허가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18.5% 줄었으나 빌라 등 아파트 외 주택은 49.1% 감소했다. 전국 착공 실적도 올 1~5월 전년 동기 대비 51.9% 줄었다.

빌라 등 비 아파트의 경우 인허가·착공 등 공급 지표 전반에서 적신호가 켜진 셈이다.

아파트와 비 아파트 간의 공급 불균형도 심화되고 있다. 전국 인허가 수치를 보면 2012년만 해도 아파트 52.5%, 비 아파트 47.5%의 비중을 보였다.

아파트 비중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2019년부터다. 전국 통계를 보면 아파트 인허가 비중이 2019년 72.8%로 70%대 벽을 넘었다. 이후 2020년 72.8%, 2021년 73.3%에서 지난해에는 78.6%까지 상승했다.

빌라 시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아파트를 잡겠다고 내놓은 규제가 빌라에도 그대로 적용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에는 전세사기에다 아파트 위주 규제 완화로 더 쑥대밭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빌라를 구입하느니 아파트에 월세를 사는 게 청약 등 여러 면에서 유리한 것이 현실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실장은 "수요에 맞춰 아파트 공급이 늘어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증가 속도가 과연 올바른 현상 인지 고민과 검토가 없다"며 "한 예로 저렴한 주거비로 살 수 있다는 주택이 줄어든다는 것은 또 다른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