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반갑다! 쉬운 우리말] '팝업스토어'를 쉽게 쓰면 '반짝매장'

뉴스1

입력 2023.07.25 09:01

수정 2023.07.25 09:01

7월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에 마련된 축구 유니폼 전문 패션 브랜드 '오버 더 피치' 팝업스토어를 찾은 시민들이 22-23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EPL) 우승을 차지한 맨체스터 시티의 23-24 시즌 홈 유니폼을 고르고 있다. 2023.7.19/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7월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에 마련된 축구 유니폼 전문 패션 브랜드 '오버 더 피치' 팝업스토어를 찾은 시민들이 22-23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EPL) 우승을 차지한 맨체스터 시티의 23-24 시즌 홈 유니폼을 고르고 있다. 2023.7.19/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김형택 기자 = ◇ 팝업스토어 → 반짝매장

팝업스토어(pop-up store)는 짧은 기간 운영되는 오프라인 소매점을 뜻합니다. 짧은 기간만 운영하기 때문에, 특정 장소를 임대하여 임시 매장을 운영하는 형태입니다. 백화점의 행사장도 이와 비슷하기는 하나, 그걸 한 브랜드의 제품만 취급하는 거라고 보면 됩니다.

국립국어원은 팝업스토어를 ‘반짝매장’으로 순화해서 쓰기를 권고합니다.

팝업(pop-up)은 '뻥하고 튀어오르다', 혹은 '깜짝 놀라게 하다'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고, 스토어(store)는 상점을 뜻하므로, 의미 그대로 해석하여 깜짝 나타나서 금방 사라지는 상점이라 생각하면 쉽습니다.



팝업스토어는 온라인에서 주로 거래되는 상품을 오프라인에 매장을 개설하여 판매하게 됩니다. 즉, 역으로 온라인을 오프라인으로 끌고 나오는 것입니다. 이는 자사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설하는 이유가 가장 큽니다. 그 때문에 상품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공간이나 체험관 등을 팝업스토어 내에 마련하는 등 브랜드의 요소를 많이 가미하여 만듭니다.

의류나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업종이 팝업스토어를 많이 활용하는 편이며, 이들은 매장과는 별도로 백화점 1층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팝업스토어를 엽니다. 특히 주로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미디어도 관련 굿즈나 기념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많이 활용하는데, 드라마,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등 상관 없이 각 업계에서 팝업스토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팝업스토어는 기존 매장과는 차별점을 두기 위해 대개 일반 매장에서는 구할 수 없는 특별판 내지 한정판을 판매합니다.

팝업스토어의 장점은 위험부담이 적다는 것입니다. 정식으로 지점을 낸다고 하면 만일 경기가 둔화하거나, 혹은 관련 업종이 타격을 받았을 때라도 함부로 철수하기 힘듭니다. 그러나 팝업스토어는 잠깐 열고 금방 닫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또한 부지 매입 비용이나, 기타 준비 비용 등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어서 초기 비용이 그다지 많이 들지 않는 편입니다. 이 때문에 대기업들도 많이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