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尹대통령 "대한민국, UN군 희생·헌신 위에 서 있어"

서영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27 20:48

수정 2023.07.27 20:48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 참석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사하는 윤석열 (부산=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6·25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7일 해운대구 부산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진행된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3.7.27 zjin@yna.co.kr (끝)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사하는 윤석열 (부산=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6·25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7일 해운대구 부산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진행된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3.7.27 zjin@yna.co.kr (끝)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6·25전쟁(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인 27일 "오늘의 대한민국은 유엔(UN)군의 희생과 헌신, 피 묻은 군복 위에 서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인 김건희 여사와 부산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대한민국은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으로 공산 전체주의 세력으로부터 자유를 지켜낼 수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73년 전 자유세계 수많은 젊은이가 '하나의 유엔 깃발 아래'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달려왔다"고 설명했다.

한국전쟁이 이어진 3년간 22개국에서 195만명이 유엔군으로 참전했으며, 미국 3만7000명을 포함한 4만1000명이 전사하고 11만명이 부상하거나 포로가 됐다.


행사가 열린 영화의전당은 6·25전쟁 당시 유엔군 주력 비행장으로 사용된 장소다.

윤 대통령은 "유엔군 참전 용사 여러분은 가장 꽃다운 나이에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우리들의 진정한 영웅"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현재도 유엔군 사령부가 "한반도 평화를 지키고 대한민국을 수호하는 핵심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유엔군 사령부는 한반도 유사시 우리 우방국이 즉각적 군사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전쟁 수행에 필수적인 유엔사 후방 기지 7곳을 자동적으로 확보하는 플랫폼"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중요한 유엔군 사령부의 역할은 유엔의 역사에서도 유일하다"며 "무엇보다 자유를 위해 연대하겠다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각별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전쟁 발발 이후 유엔군이 참전한 덕분에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고도성장과 번영을 이뤘다고 짚었다.

윤 대통령은 "부산은 6·25전쟁 기간 100만명이 넘는 피란민의 도시에서 세계 2위 환적항이자 글로벌 물류 허브로 발돋움했다"며 "유엔 참전국 도움으로 전쟁의 잿더미에서 세계적 해양도시로 거듭난 부산은 이제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세계박람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대한민국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목숨을 걸고 달려온 우방국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을 것"이라며 "여러분의 고귀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전 세계 13개국에서 한국군 장병 1000여명이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사회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점을 거론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과 연대하고, 한미동맹을 핵심축으로 인도-태평양 지역뿐 아니라 전 세계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윤 대통령은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11개국 2320명의 유엔군 참전용사들이 영면해 있는 점을 떠올리며 참전용사들에게 깊은 경의를 나타냈다.


윤 대통령은 "유엔 참전국과 참전 용사들께 깊은 감사와 무한한 경의를 표한다"며 "대한민국은 위대한 영웅들을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약속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