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K부품·전장도 줄줄이 미국행… 국내 車산업 공동화 우려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02 18:50

수정 2023.08.02 20:23

한온시스템, 테네시에 공장 설립
북미 거점 옮긴 글로벌 완성차
전기차 양산 앞두고 대거 이동
국내 중소부품사 전동화發 위기
K부품·전장도 줄줄이 미국행… 국내 車산업 공동화 우려


현대자동차, 폭스바겐,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들이 북미를 중심으로 전기차 신규 생산거점 구축에 나서면서 국내 자동차 부품·전장 업체들의 미국행이 줄을 잇고 있다. 심지어 2차 부품사들까지 신규투자·고용을 북미지역에 집중시키고 있어,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공동화되고, 부품산업의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 부품사 투자, 美가 다 끌어간다

1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 정부는 세계 2위 차량용 열관리 부품업체인 한온시스템(옛 한라공조)이 1억7000만 달러(약2200억원)를 투자, 테네시주 동부 라우던 카운티에 전기차용 열관리 시스템 공장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공조(HVAC), 파워트레인 쿨링, 히트펌프시스템 등을 생산하는 한온시스템은 일본 덴소에 이어 차량 열관리 시스템 분야 세계 2위 업체다. 히트펌프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핵심 부품 중 하나다. 한온시스템의 미국 현지 투자 발표는 지난 5월 미국 조지아주 공장 투자(4000만 달러·160명 현지 고용)에 이어 두 번째다.
테네시주는 "한온시스템의 투자로 600여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빌 리 테네시 주지사 명의로 한온시스템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미국 포드에 자동차 부품을 납품해 온 LG마그나도 지난달 7억9000만 달러 규모의 테네시주 공장 건설 투자(1300명 고용)를 확정했다.

글로벌 완성차들의 북미 전기차 공장이 이르면 2024~2025년 본격 가동되면서 이들 수요에 맞춘 부품사들의 북미 지역 투자도 속속 확정되고 있다. 전기차 대량 생산을 앞둔 완성차 업체들이 단일 부품 형태가 아닌, 모듈·시스템 등 한 덩어리로 묶어 발주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현지 완성차 업체들과 손발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미국으로 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 국내 자동차·부품·배터리·타이어사의 북미 투자액(2021~2025년) 규모는 142억4630억 달러를 넘어 150억 달러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LS일렉트릭과 자동차부품 자회사인 LS이모빌리티솔루션은 각각 미국 텍사스, 멕시코 두랑고주에서 공장을 구축하고 있으며, 현대차그룹의 핵심 부품사인 아진산업(3억1700만달러), 세원아메리카(3억달러), 에코플라스틱(2억500만달러) 등도 일찌감치 미국행을 확정했다. 여기에 최근에 2차 벤더까지 북미행이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아이씨(미국 켄터키주), DH오토웨어(멕시코 몬테레이), 서한오토(미국 조지아주)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 부품업계 공동화 위기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완성차, 배터리사는 물론이고 중견 부품사들의 신규투자가 미국에 집중되면서, 국내 전기차 산업 생태계 공동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주요 업체들이 북미지역에 거점을 마련하면서 중소 부품사들로선 전동화 전환 부담, 기존 거래선 와해, 물류비 증가 등 3중고 압박에 놓이고 있다.

특히, 내연기관차 부품사들의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올 들어 원자재값 상승·인건비 증가 등으로 차 부품사 70%는 영업이익이 둔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인구 감소 여파로 구인난이 심화되고 고금리로 운영자금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도 중소 부품업체들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수도권 소재 중소 부품사 관계자는 "공급망 붕괴 방지를 위해 중소 자동차 부품사들에 대해 한시적 대출금리 인하, 설비투자 등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강남훈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향후 미래차 전환기 부품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국내 미래차 생산기반 투자 유인제도의 지속과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