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SKT, 6G 표준화·청사진 제시

김준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10 10:46

수정 2023.08.10 10:46

관련종목▶

'6G 백서' 발간
글로벌 통신사와 협력 등 지속
SK텔레콤 모델들이 SKT가 발간한 '6G 백서'를 소개하고 있다. SKT 제공
SK텔레콤 모델들이 SKT가 발간한 '6G 백서'를 소개하고 있다. SKT 제공
[파이낸셜뉴스] SK텔레콤은 10일 뉴스룸을 통해 6세대(6G) 이동통신 표준화 및 청사진을 제시한 '6G 백서'를 공개했다.

2030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는 지난 6월 ITU-R 산하 이동통신 표준화 작업반(WP5D)에서 6G 프레임워크 권고안이 합의된 이후 올해 말 세계전파통신회의(WRC)-23에서 6G 후보 주파수에 대한 첫 논의가 이뤄진다. 이외에도 2024년부터 WP5D에서 기술 성능 요구사항 구체화 작업이 예정돼 있는 등 표준화 초기 단계를 밟고 있다.

이에 SKT는 6G 표준화 및 기술·서비스 성공을 위한 6G 핵심 요구사항과 6G 진화 방법론에 대한 시각, 주파수 표준화 동향에 대한 의견을 담은 백서를 출간했다.


SKT가 제시한 6G 핵심 요구사항은 △6G 전용 상품 및 서비스 발굴 △심플한 아키텍처 옵션 △커버리지 감소 극복 기술 △이용자 경험 제고를 위한 단말 발열 및 전력소모 절감 기술 등이다.

아울러 SKT는 6G 상용화 시 인공지능(AI), 전력절감, 양자보안 등의 기술이 네트워크 전 영역에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무선접속망, 코어망, 전송망, 상공망 등 각 네트워크 영역별로 특화된 기술들이 적용돼 진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SKT는 6G 백서 외에도 6G 표준화를 위해 글로벌 통신사와 협력하는 등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지난 2월 일본 통신사 NTT도코모와 '6G 요구사항 백서' 및 '기지국 전력절감 기술 백서'를 공동 발간한 바 있다.

이외에도 NGMN, IOWN 등 글로벌 협의체 활동에 활발히 참여해 왔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 통신사들과의 협력도 확대 중이다. AI 기반 기지국 등 6G 후보기술에 대해서도 통신장비 제조사, 정보기술(IT) 업체 등과 연구개발(R&D)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등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6G 표준화 및 기술 생태계에 대한 리더십을 선점하기 위해 많은 글로벌 통신사들과 노력하고 있다"며 "SKT는 글로벌 통신사·제조사 간 긴밀한 파트너십 확대 및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5G는 고도화는 물론 6G 기술 개발을 선도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선두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