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지역자원 연계 청년 창업 사업' 인구 유입 효과 '톡톡'

황태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13 10:16

수정 2023.08.13 10:16

인구 감소 16개 군에서 창업하도록 최대 7000만원 사업화 자금 지원
전남도는 지난해부터 추진한 '지역자원 연계 청년 창업'이 2차 사업화 대상 56개 팀 가운데 타 지역 청년 30개 팀을 포함한 47개 팀이 해당 지역으로 전입을 완료해 청년 인구 유입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전남도 제공
전남도는 지난해부터 추진한 '지역자원 연계 청년 창업'이 2차 사업화 대상 56개 팀 가운데 타 지역 청년 30개 팀을 포함한 47개 팀이 해당 지역으로 전입을 완료해 청년 인구 유입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지난해부터 추진한 '지역자원 연계 청년 창업 사업'이 인구 유입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지역자원 연계 청년 창업' 2차 사업화 대상 56개 팀 가운데 타 지역 청년 30개 팀을 포함한 47개 팀이 해당 지역으로 전입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타 시·도와 도내 청년이 잠재력 있는 지역 자원과 특산물을 활용한 사업 아이템을 발굴해 인구 감소 16개 군 지역에서 창업하도록 최대 7000만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지난해 286개 팀 신청자 중 1차 100개 팀을 선정해 자원조사 활동을 진행했다.
이 가운데 2차 사업화 가능성이 있는 56개 팀(타 시·도 30개 팀, 도내 청년 26개 팀)을 선정해 재료비, 인테리어비, 사무실 임차비 등 사업화 자금을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 올 연말에는 성공 가능성이 높은 25개 팀을 선정해 최대 5000만원의 3차 사업 고도화 자금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자원을 활용해 창업에 성공한 주요 우수 아이템은 △곡성군의 특산품인 토란을 활용해 초콜릿을 제작·판매하는 김재천 씨의 '초코라니' △구례군의 고급차(茶) 체험장 운영과 티백형 차를 생산 예정인 이가영 씨의 '고차숨차숨' △신안군의 폐그물을 이용한 수세미 제조와 업사이클 제품을 판매하는 최영모 씨의 '퍼플웨일' △강진군의 정약용 제다법을 활용한 상품 개발 및 체험 관광 플랫폼 구축 예정인 이진나 씨의 '하모니' 등이다.

전남도는 앞으로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 멘토링, 역량 강화, 선진지 견학 및 성과 공유회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지원하고, ‘지역자원 연계 청년 창업 지원 사업 브랜드(BI)를 개발해 전남형 청년 창업 문화 육성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선주 전남도 일자리경제과장은 "이 사업을 통해 잠재력이 많은 청년이 새로운 시각으로 전남의 숨은 자원과 매력을 발견하고, 지역에서 창업해 정착하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