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치매 진행 속도 27% 지연' 日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승인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22 08:54

수정 2023.08.22 08:54

후생노동성 사용 승인, 이르면 10월부터 현장에 신약 투입
알츠하이머 진행 늦추는 최초의 신약
미국선 지난달 승인, 한국서도 허가 신청서 제출
에자이와 미국 바이오젠이 공동개발한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미국명 레켐비). 연합뉴스
에자이와 미국 바이오젠이 공동개발한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미국명 레켐비). 연합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이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에 대한 사용을 승인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2일 보도했다.

후생노동성 산하 약사·식품위생 심의회 의약품 제1부회는 전날 에자이와 미국 바이오젠이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카네맙'의 사용을 승인했다.

절차 상 조만간 후생노동성이 승인하면 이르면 10월, 늦어도 11월께는 일본 의료 현장에서 신약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늦추는 효과를 증명한 일본 내 최초의 신약이다. 그동안 대증요법에 국한된 치매 치료 수준을 유의미하게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지난달 승인된 미국의 약값은 연간 2만6500달러(약 3553만원)로, 일본 내 약값 산정에 대한 관심도 높다.


닛케이는 "일본 레카네맙의 가격은 미국보다 저렴한 연간 300만엔(약 2751만원) 이하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고액 의료에 월 상한을 두는 요양비 제도가 있어 환자의 부담을 낮출 수 있다"고 전했다.

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병을 완치시키는 약은 아니다. 투여 대상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조기 단계의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환자로 한정된다.

알츠하이머병은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정상적인 신경세포가 파괴되고, 뇌 위축이 일어난다.

레카네맙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해 병의 진행을 늦춘다. 임상시험에서는 병의 진행 속도를 27% 완만하게 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한 종류로, 일본에서는 치매로 진단된 고령자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 치매 환자는 2020년 기준 60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모두 75세 이상 노인이 되는 2025년에는 약 700만명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에자이는 지난 6월초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 치료를 목적으로 레카네맙 허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