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지자체 대민 서비스 안전하고 빠르게…민간 클라우드로 전환

뉴시스

입력 2023.08.29 12:01

수정 2023.08.29 12:01

행안부, 세종·제주·광주 등 6곳 864개 정보시스템 대상 시범사업
[세종=뉴시스] 행정·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활용모델. (자료= 행정안전부 제공)
[세종=뉴시스] 행정·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활용모델. (자료= 행정안전부 제공)

[세종=뉴시스] 변해정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 등 6개 광역시·도가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활용모델' 지방자치단체 시범사업 성과 공유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는 효율성·보안성이 검증된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클라우드 센터의 서버, 저장장치,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의 정보통신자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서비스다. 화재·지진·수해 등 재난 발생과 일시적 이용자 폭증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자체 전산 설비를 증설하지 않아도 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행정·공공기관 특성에 맞는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로 전환해 대민 서비스를 빠르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민간 이용형, 민간 위탁형, 민간 이용·위탁 혼합형 등 3가지로 나눠 진행됐다.

대상은 경상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세종, 제주 등 6개 시도 864개 정보시스템이다.

비용 부담이 적은 민간 이용형은 민간 클라우드센터에 행정·공공기관 전용 영역을 만들어 이용하는 모델로 광주, 전남, 경남, 제주가 채택했다. 특히 광주와 전남은 보안성이 높은 내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 2.0 전자결재시스템도 민간 클라우드센터로 이관했다.

민간 위탁형은 행정기관이 소유한 건물에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도입하고 운영을 민간 사업자에게 맡겨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델로 관리 효율성이 장점으로 꼽힌다. 전북이 현재 대부분의 서비스를 민간 이용형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새로운 전산실을 민간 위탁형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민간 이용·위탁 혼합형의 경우 대민과 내부 업무로 나눠 대민 업무는 민간 클라우드센터의 행정·공공기관 전용 영역을, 내부 업무는 행정기관이 소유한 건물에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도입해 이용하는 모델을 말한다. 세종이 이 모델을 채택했다.

시범사업 추진 결과 기존 시스템에 비해 평균 응답시간이 48%(3→1.56초) 단축되고 시간당 처리량은 57%(136.8→214.2건/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간 300만kWh의 소요 전력 절감으로 탄소 배출량이 1200t 줄어들었다. 이는 3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행안부는 시범사업을 끝내고 본격적으로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활용모델을 공공 부문에 적극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국장은 "행정업무의 효율성 향상과 정보시스템의 운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돼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이 사업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인 민관이 협업하는 대표적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pyu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