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국내 M&A, 대기업에 치중...중소기업에도 정책 지원 필요"

박지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04 14:25

수정 2023.09.04 14:25

자본시장연구원 제공
자본시장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이 최근 10년 간 꾸준히 성장해온 가운데 국내 인수거래 대부분이 대기업에 쏠려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수거래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4일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최근 발간한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인수자 관점에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M&A 시장의 거래건수와 거래규모는 2010년 200건(36조1000억원)에서 2021년 356건(123조4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거래건수 299건, 거래규모 56조3000억원으로 M&A 시장이 다소 위축됐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기간을 살펴볼 때 꾸준한 성장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기업의 대표적 투자방식 중 하나인 M&A는 투자기회의 기업 간 재배분을 통해 기업에게 성장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경제의 역동성과 산업구조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한다.

국내 M&A 시장은 국내 매수자와 국내 매도자 간 거래를 중심으로 형성돼 온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간 매수자와 매도자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M&A 건수를 분석한 결과, 국내 매수자-매도자 간 거래가 76.6%, 국내 매수자-해외 매도자, 해외 매수자-국내 매도자 간 M&A는 각각 11.4%, 11.2%로 집계됐다.

국내 M&A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거래 유형은 인수거래로, 거래건수 2439건, 거래규모 392조원에 달했다. 뒤이어 합병 258건(141조8000억원), 영업양수도 219건(41조원) 순이었다. 인수 방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방식은 구주 인수(2014건)으로 건수 및 규모 기준 각각 64.2%, 51.7%를 차지했다.

한편 비상장기업의 M&A 역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연구위원은 "상장기업이 거래 대상기업인 M&A 비중이 규모 기준으로 33.4%에 불과해 비상장기업 M&A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기업규모가 클수록, 차입금 비율이 낮을수록, 무형자산 비율이 높을수록 인수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자금 조달 능력이나 충분한 재무적 자원을 갖춘 기업일 수록 인수거래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에 박 연구위원은 인수거래를 희망하는 중소·혁신기업의 인수재원 확보를 정책 자금 등을 통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규모가 작은 기업일 경우 거래비용이 높아 민간 자금 조달이 잘 이루어지 않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인수거래 성과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 대비 높을 수 있다"며 "성장자본 투자를 주 목적으로 하는 정책성 투자기구를 설정·운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성장자본을 공급하는 투자기구 설립도 제시됐다.
박 연구위원은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은 인수거래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무형자산은 일반적으로 담보가치가 부족해 외부 자금 조달이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이들 기업은 인수재원으로 내부자금조달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며 "무형자산 비중이 높으며 인수재원 접근성이 제한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분형 인수금융 투자기구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