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삼성·애플페이 쌍끌이 효과? '휴대폰 제조사' 간편결제 비중 25% 넘었다

김나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06 17:06

수정 2023.09.06 17:06

한국은행 2023년 상반기중
간편결제 및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현황
간편결제 시장서 전금업자+금융회사
비중은 줄고 휴대폰 제조사 비중 커져
올해 상반기 애플페이 상륙 등 영향
삼성페이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페이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애플페이 자료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애플페이 자료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파이낸셜뉴스]올해 상반기중 간편결제 서비스가 성장세를 지속한 가운데 삼성·애플페이 등 '휴대폰 제조사'를 통한 간편결제 이용금액이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애플페이 국내 상륙으로 휴대폰 제조사 기반 간편결제가 더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중 간편결제·간편송금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빈기중 간편결제 서비스 일평균 이용건수는 2628만건, 이용금액은 845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대비 각각 13.4%, 16.9% 늘어난 것이다.

특히 휴대폰 제조사 비중이 늘어 전체의 4분의 1을 넘어섰다.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을 제공업자별로 살펴보면 휴대폰 제조사의 비중이 25.1%였다.
2021년 상반기 22.1%, 2022년 상반기 23.6%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조사대상 휴대폰 제조사에는 삼성페이와 애플페이, LG페이가 포함됐다. 올해 상반기 애플페이가 현대카드와 손 잡고 국내 간편결제 시장에 진출한 점도 비중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자금융업자가 간편결제 전체의 49.2%로 여전히 가장 많았지만 2022년 상반기(50.4%) 대비 비중이 1.2%p 하락했다. 카드사와 은행들이 제공하는 KB페이, SOL Pay 등 금융회사 간편결제 서비스 비중은 25.7%로 전년동기(26.0%) 대비 소폭 줄었다.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일평균 이용건수, 이용금액을 봐도 휴대폰 제조사 서비스 이용이 크게 늘었다. 올해 상반기 휴대폰 제조사가 제공한 간편결제 서비스 일평균 이용건수는 812만6000건으로 전년동기대비 23% 늘었다. 전자금융업자의 경우 증가율이 10%, 금융회사는 8.2%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큰 것이다.

일평균 이용금액의 경우에도 휴대폰 제조사가 2117억90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3% 늘었다. 간편결제 서비스 전체 이용금액 증가폭(16.9%)을 웃도는 것으로, 전자금융업자(14.1%), 금융회사(15.3%) 증가폭 보다도 높다.

전자금융업자의 간편결제 서비스 방식 중에서는 '선불충전' 방식이 확대됐다. 신용카드 비중이 61.3%로 가장 높았고, 계좌에 연동해 미리 충전한 선불금을 이용한 비중도 32.7%로 확대됐다.
2021년 상반기 29.2%, 지난해 상반기 31.2%에서 계속 비중이 늘고 있다.

상반기중 선불금 기반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규모는 일평균 610만건, 746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4.2%, 23.9%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2022년 1월 마이데이터 서비스 시행 이후 전자금융업자를 통한 금융소비자의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이 확대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