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세운상가,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06 18:11

수정 2023.09.06 18:11

[특별기고] 세운상가,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서울시가 발표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그동안 잊혀진 세운상가를 세간의 화두로 만들었다. 세운상가가 사라진 구상도를 본 전문가들은 세운상가의 보존과 철거의 당위성을 두고 다시 논쟁하기 시작했다. 세운상가는 새로운 계획의 중요한 열쇠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세운상가라는 열쇠로 열려는 문 너머의 세계가 어떨지 고민하기보다 열쇠 자체만 따지고 있다. 우리가 이 시점에 해야 할 질문은 세운상가가 사라짐으로써 꾸게 되는 새로운 꿈은 무엇이지, 잃어버리는 소중한 것은 무엇인 지다.

세운상가 철거를 통해 얻게 될 새로운 미래는 어떤가? 기존 서울 원도심에 없었던 대규모 녹지가 생겨난다.
북악과 종묘에서부터 남산까지 이어지는 녹지축이 연결되고 1㎞의 선형 공원이 생긴다. 인접 민간 부지에서도 녹지공간을 확보해 지상의 15%에 달하는 녹지공간이 대중에게 개방된다. 서울 원도심의 녹지율은 3.7%밖에 되지 않는다. 뉴욕이 26.8%, 런던 구도심이 14.6%임을 고려할 때 턱없이 부족하다.

공원녹지를 통해 도시가 살아나고 가치가 높아지는 현상은 여러 사례를 통해 이미 증명됐다. 녹색의 공간뿐 아니라 새로운 업무공간과 주거공간을 수반한다. 기반 시설의 노후화로 활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주요 원도심은 앞서 도시재생으로 변화를 꾀했지만, 시민들이 기대에 못미쳤다. 특히 세운지구는 다른 원도심 비해 더욱 낙후된 지역으로 머물러 있었다.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미래를 그리고 있다. 단순히 쾌적한 도시 환경을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적·문화적 활력이 넘치는 원도심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다만 어떠한 청사진도 완벽한 정답일 수는 없다. 무언가 얻게 된다면 당연히 무언가 상실할 위험도 존재한다. 계획을 통해 잃는 논쟁의 대상은 계획의 열쇠인 세운상가다. 세운상가가 근대 한국건축의 기념비적인 건물이라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국내외 여러 사례로 볼 때 물리적으로 세운상가 전체를 보존하는 것만이 그 가치를 지키는 유일한 길은 아닐 수 있다. 온전한 보존을 위해서는 10년 전 안전등급 D를 받은 위험건물에 대한 대책부터 필요한데, 과연 보존을 위한 보전만이 대안인 지에 대한 열린 논의가 필요하다.

세운상가 자체보다 더 중요한 자산은 그곳에 자리 잡은 독특한 '메이커 문화'라는 의견도 있다. 비록 지금의 세운상가는 과거 가전 생산기지로서 역할은 잃어버렸지만, 여전히 이곳에서만 찾을 수 있는 생산 공방이 남아있다. 최근에 입주한 예술가와 스타트업도 새로운 메이커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세운상가는 산업 생태계를 담는 그릇일 뿐, 세운상가가 사라진다고 공방과 장인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생태계를 옮겨 담는 일은 업체를 이주시키는 일과는 다르기에 섬세한 고민과 대안이 필요하지만, 세운상가의 철거가 생태계의 소멸로 귀결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세운지구를 둘러싼 논의의 쟁점이 건물 철거냐 보존이냐, 변화냐 유지냐의 양자택일의 문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 두 극단 사이에는 수많은 대안과 나은 미래가 잠재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운상가는 이제 기념비가 되어버린 과거의 꿈이다. 실패한 과거에 대한 부정은 또 다른 위험을 수반한다.
과거의 누군가 꾸었던 꿈을 지키기 위해 미래 세대에게 새로운 꿈을 꿀 권리까지 포기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