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경제안보 위한 리쇼어링 제도 개선 시급"

김영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15 15:49

수정 2023.09.15 15:49

김성원 의원(국민의 힘). 김성원 의원실 제공
김성원 의원(국민의 힘). 김성원 의원실 제공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주요 국가들이 첨단 전략산업 보호 정책을 앞다투어 발표하는 가운데 한국도 자국 기업이 국내로 유턴할 수 있도록 제도와 유인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경제안보 관점에서 리쇼어링 제도 개선을 추진해 주요 기업들의 자연스러운 국내 복귀를 유도하고 고용,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첨단 전략산업 보호 위한 리쇼어링 정책 강화 필요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민의힘 김성원 국회의원(경기 동두천·연천)은 이날 서울 여의도 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국내 첨단산업 리쇼어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글로벌 첨단산업 패권 경쟁 등 급속도로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서 국내복귀기업(유턴) 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좌장으로 참석한 김주권 건국대 교수는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당시 공급망 붕괴 경험으로 첨단산업 리쇼어링이 경제안보와 직결돼 각국 정부의 핵심 과제로 다뤄야 한다는 인식이 커졌다"며 "이번 토론회는 경제안보 관점에서 리쇼어링을 다루는 국내 첫 토론회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오준석 숙명여대 교수는 경제안보 관점으로 리쇼어링 제도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중국이 미국을 압박하기 위해 아이폰 금지령을 내린 사례처럼 앞으로 애플의 중국 생산시설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면서 "삼성, 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이 같은 상황을 겪을 경우, 우리 경제에 심대한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혜린 숭실대 교수는 "세계 흐름과 달리 국내 리쇼어링 정책은 제조업, 중소기업 중심에 멈춰져 있다"면서 "첨단전략산업의 유턴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소한 외국인투자 수준으로 리쇼어링 정책 강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설명했다.

첨단산업 투자액의 50%까지 한도없이 지원하는 외국인 투자 정책과 달리 리쇼어링 보조금 한도액은 수도권 150억원, 비수도권 300억원에 머물러 있다. 투자 규모가 최소 '조원' 단위에 달하는 반도체, 배터리, 전자회사가 해외 생산기지를 철수해 국내로 복귀하기에는 유인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고용·경제 파급효과 커...속도감 있는 정책 실현 시급
실제로 지난해 국내 유턴기업 24개 중 스마트폰 제조 등 첨단기업은 6개, 중견·대기업은 9개 사에 불과했다. 대기업이 복귀해야 소재·부품·장비업체가 동반으로 유턴할 수 있기에 이에 맞춰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패널로 참석한 김민재 경기대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지원 확대에 따른 부담이 있겠지만 기업 유턴에 따른 일자리 창출, 지역균형 발전, 법인세 증가 등 장기적인 혜택도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며 "미국의 경우 지난해 리쇼어링으로 고용이 37만명 증가했는데 이는 정책 강화를 처음 시작한 10년 전 대비 60배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내 복귀를 고민하고 있는 기업들이 실제 유턴시 자동차와 전기·전자산업에서 각각 8조6000억원, 6조원의 국내생산액이 증가하고, 각각 1만2000개, 4700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경련 연구 결과도 소개했다.

조재한 산업연구원 산업혁신정책실장은 "해외진출기업복귀법을 시행한 지 10년째이지만 지금까지 국내 첨단산업 분야의 리쇼어링 성과는 여전히 부진하다"며 "정책 마련 못지않게 리쇼어링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성원 의원은 "지정학적 위험이나 기술 유출, 외교 갈등 등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애플, 보잉, GE 등 글로벌 기업들도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갖춘 자국으로 복귀했거나 준비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리쇼어링과 관련한 세법 개정안 개편을 예고하는 등 관련 정책을 드라이브하고 있지만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더 기울이고, 민관정이 힘을 모아 국내 현실에 맞는 정책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fnSurvey